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웅녀가 사신의 중앙에 선 이유?
평창 개막식의 웅녀가 사신의 중심에 선 이유
박지환 기자/ 승인 2018.02.14 14:12
|
웅녀의 등장. 뒤에 곰이 보인다. (KBS 화면캡쳐) |
고구려 여인 안무가들과 함께 춤을 추는 웅녀 (KBS 화면캡쳐)
웅녀가 사신도의 중심에 섰다 (KBS 화면캡쳐)
청룡,백호,주작,현무가 각각 자기 방위에 자리를 잡으면서 귀퉁이로 가게 되고 중앙 무대에는 웅녀가 들어 서게 된다. 어찌보면 이 모습은 사신도가 아니라 오신도五神圖가 있다. 특히 고구려 벽화 3기의 고분인 통구 사신총, 오회분 4호묘, 강서대묘는 오신도五神圖, 오방신五方神의 개념을 정확하게 구현하고 있다. 그 중앙에는 지금은 황룡이 자리잡고 있다.
주작朱雀 적표赤標는 왕명을 주관하시며,
청룡靑龍 영산靈山은 곡식을 주관하시고,
백호白虎 병신兵神은 형벌을 주관하시며,
황웅黃雄 여신女神은 질병을 주관하신다.
『태백일사』의 「삼신오제본기」에서는 각 방위에 배치된 영물들에 오가五加를 함께 배치하였다. 특히 중앙 방위에는 황웅여신黃熊女神을 배치했다. 현재 남아있는 고구려 오신도를 보면 황웅 대신에 황룡으로 대체되어 있다. 이는 후대에 내려오면서 여신 숭배 문화가 퇴색된 결과로 보여진다.
오신도의 중심에 황룡이 있다 (강서대묘)
박지환 기자 youcontents@naver.com
<저작권자 © 한韓문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책(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이 시대 누구나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 |
'역사문화코드 > 환단고기桓檀古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단고기』 속 가림토와 한글의 기원 (0) | 2018.06.21 |
---|---|
환단고기 북콘서트 광주편 프롤로그- 동서양 문화원전의 성립과 보정작업의 중요성 (0) | 2018.03.14 |
환단고기 역주본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0) | 2018.02.01 |
『환단고기』에 기록된 치우천왕(황) 관련 내용들 (0) | 2018.02.01 |
환단고기의 진실, 환단고기 증명하는 고유사서 (0) | 2018.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