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13 한국의 모든 성씨姓氏 정보 총람 한국의 모든 성씨姓氏 정보 총람한국의 모든 성씨가 총집합되어 있는 성씨 정보 싸이트입니다. 종류별 성씨, 지명별 성씨, 성씨의 인구별 순위, 성씨의 본관별 인구, 외래 귀화 성씨, 유사 본관과 비슷한 성씨, 성씨의 영문 표시, 2000년 새로운 성씨. ☞써네임 닷 인포 http://www.surname.info/surnames.html 한국의 성씨 (STB상생방송 프로그램) 한국의 성씨 1회 진주 강씨姜氏, 인류의 뿌리 성씨 https://youtu.be/o6CS0lsqTx8 한국의 성씨 2회 고성이씨 https://youtu.be/oC5KDPpST78 한국의 성씨 3회 제주 고씨ㅣ시조 고을나 https://youtu.be/zCAX3uu3j5o 한국의 성씨 4회 제주 부,양씨 https://youtu.b.. 2021. 1. 12. 한국의 성씨 / 옥천玉川(순창淳昌) 옹씨邕氏 한국의 성씨 / 옥천玉川(순창淳昌) 옹씨邕氏 옹씨는 단일 본本 옹邕 자는 ‘막다’, ‘화락和樂하다’ 등의 뜻이 있다. 우리나라 옹씨는 옥천玉川 옹씨와 순창淳昌 옹씨의 두 본관이 있다. 옹씨 본래의 본관은 옥천이다. 그러나 1930년 조선총독부의 국세 조사에서 본관을 기록할 때, 일족 중의 일부가 옥천에서 바뀐 지명인 순창으로 본관을 등록함으로써, 순창 옹씨가 생겨났다고 한다. 결국 옥천, 순창 두 본관은 동일한 본관이며, 족보에서도 두 본관을 구분하지 않고 함께 기재하고 있다. 한편 거창居昌 옹씨로 알려진 사람들도 1930년의 조사에서 당시의 거주지를 본관으로 신고함으로써 나타났다고 한다. 순창은 전라북도 남쪽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려 때에는 순창현淳昌縣이 되어 남원부南原府에 속하였다가, 1314년.. 2018. 7. 2. 한국의 성씨 / 남양南陽 홍씨洪氏 한국의 성씨 / 남양南陽 홍씨洪氏 한국의 성씨 / 남양南陽 홍씨洪氏(唐洪 ,土洪) 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남양 홍씨는 인구수 약 41만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당홍계가 38만명(379708명, 22위) 토홍계가 3만명으로 추산된다. 그 외 홍씨의 본관은 문헌에 111본까지 나와 있으나 현존하는 본관 중에서 남양南陽, 풍산豊山, 부계缶溪, 홍주洪州 등 4개가 저명하다. 우리나라의 홍씨 홍씨의 기원 홍씨가 .. 2018. 3. 16. 한국의 성씨 / 수원水原 백씨白氏 한국의 성씨 / 수원水原 백씨白氏 한국의 성씨 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수원 백씨는 모두 98748가구에 총 31만 653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씨별 인구 순위가 30위이다. 우리나라의 백씨 수원 백씨 시조 백우경白宇經 우리나라 백씨는 수원, 안동, 충주를 비롯하여 34본관이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백씨의 대부분은 수원 백씨에서 분파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수원 백씨의 시조는 백우경.. 2018. 3. 15. 한국의 성씨 / 밀양密陽 손씨孫氏 한국의 성씨 / 밀양密陽 손씨孫氏 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15년의 조사에서는 성씨의 개수가 5582개로 크게 늘어났다. 이중 한자로 이루어진 성은 1507개이고, 한자가 없는 성은 4075개나 된다. 본관은 3만6744개로 조사되었다. 이중 밀양 손씨는 인구수가 306,895명이었다. 한편 손씨 전체 인구는 457,303명이었다. 대전 뿌리공원에 있는 밀양 손씨 종탑 손씨의 유래 시조에 얽힌 이야기 삼국.. 2018. 3. 9. 한국의 성씨 / 온씨溫氏 한국의 성씨 / 온씨溫氏 봉성鳳城(金溝) 온씨 온씨의 기원 온씨 성의 기원은 주나라 성왕成王의 아우로 당唐에 봉해진 숙우叔虞의 12세손 소후昭候가 그의 아우 사師를 온溫에 봉하고 평원平原에 도읍을 정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온씨가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바보장군으로 유명한 온달이 시조이다. 그는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로 어릴 때 살림이 구차하여 구걸로 어머니를 봉양하였고, 남루한 옷차림이어서 ‘바보 온달’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평원왕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강공주와 결혼, 후주의 무제군을 요동 땅에서 깨뜨렸다. 그 뒤 영양왕 때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 북쪽의 아차산성을 되찾고자 출정했으나 전사하고 말았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 2018. 3. 9. 한국의 성씨 / 길씨吉氏 한국의 성씨 / 길씨吉氏 해평海平(선산善山) 길吉씨 시조 길당吉唐 「해평길씨세보海平吉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당나라에서 동래한 8학사의 한 명인 길당吉唐이라고 한다. 길당은 고려 문종 조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고려때의 정3품 문관) 참지정당문학參知政堂文學(고려 때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에 오르고, 해평백海平伯에 봉해져서 해평海平(현 선산의 옛 지명)로 관적貫籍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길당 이후 1백여 년간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어, 고려 때의 성균진사成均進士(소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한 선비)인 길시우吉時遇를 1세조로 받들며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한편,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에 신라 때의 인물로 길문吉門(4관등 파진찬波珍飡)과 길선吉宣(6관등 아찬阿飡) 등의 이름이 나오지만 지금의.. 2018. 3. 9. 한국의 성씨 | 반潘씨 한국의 성씨 | 반潘씨 역사는 곧 나라의 혼이다. 나라에 역사가 있듯 각 가문에도 역사가 있으니 곧 성씨姓氏의 역사이다. 지난 2015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5582개의 성姓과 3만 6744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에서 반씨 성은 2015년 통계청 조사에서 전국에 28,062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본大本은 거제巨濟(기성岐城) 반씨 시조 반부潘阜 우리나라의 반潘씨는 모두 기성岐城(거제의 옛 이름) 반씨에서 유래됐다. 후손들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사는 곳에 따라 충주忠州, 남평南平, 결성結城, 광주光州 등 12본으로 갈리었다. 1975년 5월 ‘반씨대동보’를 간행할 때 모두 단일 본으로 합쳐졌다. 거제 반씨의 시조는 반부潘阜(1230~?)인데 자는 군수君秀, 호.. 2018. 3. 8. 한국의 성씨 | 충주忠州 지씨池氏 한국의 성씨 | 충주忠州 지씨池氏 성씨의 유래 뿌리공원에 새겨진 충주 지씨 유래 시조 선의공宣懿公 지경池鏡(903~1003)은 송宋나라 단명전端明殿 태학사太學士로서 960년(고려 광종 11년)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관직이 금자광록대부 태보평장사金紫光祿大夫太保平章事(정2품 부총리)에 이르렀다. 그 6세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정2품) 지종해池宗海는 충원백忠原伯에 봉封하여져 충주가 관향이 되었으며, 또한 6세손 평장사平章事 지중익池重翼은 겨드랑이에 인갑鱗甲이 있어 어魚씨로 사성賜姓을 받아 충주忠州 어魚씨로 분파하였다. 지씨는 고려조에 많은 인물을 배출한 명문거족으로 발전하였는데, 특히 고려 말 지문사걸池門四傑이라 하여 원의 세력과 왜구, 홍건적 등을 물리치는 데 공을 세운 찬성사贊成事 지윤池奫, 상원수.. 2018. 3. 8. [한국의 성씨] (3)항렬표와 이름을 대신하는 다양한 이름들 [한국의 성씨] (3)항렬표와 이름을 대신하는 다양한 이름들 항렬은 가문家門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나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글자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한韓문화타임즈 최영철 기자 / 승인 2017.10.08 13:38 ■항렬표 항렬行列이란 같은 혈족사이의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율법이며, 항렬자行列字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항렬은 가문家門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나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한다. 1.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으로 쓰는 경우 : 金ㆍ水ㆍ木ㆍ火ㆍ土(금ㆍ수ㆍ목ㆍ화ㆍ토)의 변을 사용하여 세대순으로 앞뒤 이름자에 번갈아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2. 십간十干순으로 쓰는 경우 .. 2018. 3.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