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소식/핫이슈,화제

붉은불개미, 과연 얼마나 위험할까요?

by 태을핵랑 2018. 7. 9.

붉은불개미, 과연 얼마나 위험할까요?

 

붉은불개미: 적갈색을 띠고 꼬리 부분에 날카로운 침을 지니고 있는 개미로,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에 속한다. 

붉은불개미(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외국어 표기: Red imported fire ant(영어) *학명: Solenopsis invicta

*생물학적 분류- 계: 동물계 / 문: 절지동물문 / 강: 곤충강 / 목: 벌목 / 아목: 벌아목 / 상과: 말벌상과 / 과: 개미과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이 지정한 세계 100대 악성 침입외래종에 속하는 종이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다.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몸길이 3~6mm 크기로, 꼬리 부분에 날카로운 침을 지니고 있다. 이 침에는 염기성 유기화학물인 알칼로이드인 솔레놉신과 벌, 독거미, 지네 등에 있는 독성물질인 포스폴리파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섞여 있다. 따라서 이 침에 찔릴 경우 심한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심할 경우 현기증과 호흡곤란 등의 과민성 쇼크를 유발한다.

 

붉은불개미의 독성과 번식력

북미에서는 붉은불개미 때문에 사망한 사례도 보고돼 ‘살인개미’로도 불린다. 학계에서는 1930년대 이후 현재까지 100여 명이 붉은불개미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붉은불개미의 독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즉, 붉은불개미의 독성이 우리나라에서 독성이 가장 강한 곤충인 장수말벌의 5분의 1 수준이기에 강한 독성을 지녔다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문제는 붉은불개미의 번식력과 환경적응력으로, 붉은불개미의 여왕개미는 주로 6~9월 주변 환경에 따라 매일 1500여 개의 알을 꾸준히 낳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번식력이 강하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붉은불개미는 한번 자리를 잡으면 박멸이 어려워 농작물 피해나 생태계 교란을 일으킨다.

 

우리나라의 붉은불개미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9월 28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됐으며, 박멸에 나선 검역 당국은 다음 날인 9월 29일 감만부두에서 붉은불개미 1000여 마리가 있는 개미집을 제거했다. 이후 10월 10일 농림축산부는 붉은불개미가 여왕개미를 포함해 모두 사멸한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다만 농림부는 여왕개미가 죽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동했거나 2세대 여왕개미들이 추가 군락을 만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후 붉은불개미는 2018년 2월과 5월 인천항과 부산 북항 등에서 발견된 데 이어 6월에는 평택 당진항에서도 나왔다. 그리고 8월에는 인천항에서 여왕개미 1마리를 비롯해 총 776마리의 붉은불개미가 발견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붉은불개미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낯선 침입자 붉은 불개미…얼마나 위험할까? / YTN 사이언스

게시일: 2017. 10. 17.

[YTN 사이언스] 낯선 침입자 붉은 불개미…얼마나 위험할까?

■ 이동은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매주 동물의 생태를 관찰해보고 그 속에 담긴 과학을 찾는 시간, '과학관 옆 동물원'입니다. 오늘도 이동은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어떤 동물에 대해 알아볼까요?

[기자]
네, 오늘은 말벌에 이어서 또 다른 곤충에 대해 알아볼까 하는데요,
얼마 전 부산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 아주 작은 곤충이 있습니다. 기억나시나요?

[앵커]
아, 붉은 불개미 말씀이시죠? 추석 연휴 내내 이 불개미 때문에 아주 떠들썩했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붉은 불개미가 발견됐는데요, 당시 관련 보도 먼저 보시겠습니다.

[앵커 : 살인 개미로 불리는 '붉은 독개미'가 발견된 부산 감만부두에서는 개미 유출을 막기 위해 초비상입니다.]

[기자 : 부두에서 나오는 차량마다 소독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개미가 차량에 붙어 외부로 확산하는 심각한 상황이 생길 가능성에 대비하는 겁니다.]

[백낙현 /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과 : 현재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차량 소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자 : 개미집은 최초로 발견된 지점에서 30㎝ 범위에서만 있었고 알이 있던 방은 2개, 전체 개미 숫자는 천여 마리 정도였습니다. 국내 유입 시기는 짧게는 한 달, 길게는 3개월 전후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앵커]
이 붉은 불개미가 사람에게 아주 위협적이라고 알려지면서 많은 분들이 두려워했잖아요, 지금은 모두 방역이 된 건가요?

[기자]
네, 정부에서는 이 붉은 불개미가 퍼지지 않고 그대로 사멸했다고 발표했고요, 여왕개미도 죽은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여왕개미의 사체를 직접 확인하지는 못했고요, 또 이 개미들이 남아 있다가 번식할 위험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 2년 정도는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당장은 사라졌다니 그나마 다행인데요, 이 붉은 불개미가 그 정도로 무서운 건가요?

[기자]
붉은 불개미는 실제로 치명적인 독성이 있어서 '붉은 독개미'로 불리기도 합니다.
다른 대부분의 개미보다 호전적이고요, 아주 아픈 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앵커]
그럼 사람이 물릴 경우에도 아주 치명적이겠네요?

[기자]
그런데 사실 이 붉은 불...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붉은불개미, 인천항 추가 발견 ‘無’…정부 “총 776마리 올 봄 유입 추정”

 

[동아닷컴]

동아일보 DB

 

최근 인천항에서 붉은불개미가 발견돼 정부가 조사에 나섰으나 추가 발견된 것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림축산검역본부와 농촌진흥청,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과 학계 전문가 59명을 투입해 합동조사한 결과 붉은불개미가 8일까지 추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지난 6일 인천항 컨테이너터미널 야적장 아스팔트 균열 부위에 여왕개미 1마리를 포함한 수백 마리의 붉은불개미가 나타나 정부가 정밀조사에 나섰다.

발견된 붉은불개미는 최초 발견지점에서 여왕개미 1마리, 애벌레 16마리, 일개미 639마리와 최초 발견지점으로부터 약 80m 떨어진 지점에서 일개미 120마리까지 총 776마리가 발견됐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천항 붉은 불개미 유입 시점을 올해 봄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문가 연구 자료에 따르면 일개미 수가 200∼1100마리 이내인 경우에는 군체의 나이를 3∼4개월로 보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초 발견지점 조사결과 군체에 번식 가능한 수개미와 공주개미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확산 가능성은 높지 않을 거라 보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판단을 위해 발견지 인근 주변지역에 대한 추가 정밀 조사를 계속 실시할 예정이다. 또 발견한 개미에 대해 유전자 분석도 진행 중이다. 9일부터는 예찰트랩과 별도로 300개의 간이트랩을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해 조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붉은불개미는 남미에 주로 서식하며 크기는 2∼6mm에 불과하다. 이 작은 개미가 화물 컨테이너 등을 통해 전 세계로 퍼지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했다.

붉은불개미의 꼬리 부분에는 날카로운 침이 있다. 찔리면 마치 불에 덴 것처럼 심한 통증을 느낀다. 이 침에는 염기성 유기화학물인 알칼로이드인 솔레놉신과 벌, 독거미, 지네 등에 있는 독성물질 포스폴리파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섞여 있다.

붉은불개미에 쏘이면 사망할 수도 있어 ‘살인개미’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붉은불개미에게 쏘이면 상태에 따라 △경도 △중도 △중증으로 나뉜다. 일단 쏘이면 20∼30분 정도 신체의 변화를 잘 살펴야 한다. 따끔한 통증과 함께 해당 부위가 가렵기만 하면 큰 문제가 없지만 평소 곤충 독 알레르기가 있다면 다르다. 쏘인 후 부기와 두드러기가 전신으로 퍼지면 ‘위험 신호’다. 알레르기로 인한 급성 쇼크, 즉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올 수 있어서다. 처치가 늦으면 자칫 사망할 수 있다.

김소정 동아닷컴 기자 toystory@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천항서 붉은불개미 일개미 70마리 추가 발견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영상출처: 연합뉴스TV / https://youtu.be/Qd7qmsHyO2I 

 

게시일: 2018. 7. 8.

인천항서 붉은불개미 일개미 70마리 추가 발견

지난 6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여왕개미가 발견된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일개미 수십마리가 추가로 나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주말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과 합동조사한 결과 그저께(7일) 오후 최초 발견지점에서 약 80m 떨어진 곳에 일개미 70마리가 있는 것을 찾아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이달 인천항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는 여왕개미 1마리를 포함해 776마리로 늘어났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번에 발견된 일개미들이 최초 발견지점 일개미들과 같은 군체인지 여부를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 중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