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산도메시지421

[우주와 인간 4] 우주가 존재하는 필수 요소 3가지 [우주와 인간 4] 우주가 존재하는 필수 요소 3가지 그렇다면 이 ‘天地(宇宙)’, 즉 하늘과 땅은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서양 사람들은 천지(우주)를 ‘무한한 공간의 연속’, ‘수천억 개의 별로 이루어진 은하계가 다시 수천억 개 있는 공간’, ‘규칙적인 질서로 움직이는 대자연’ 등 모두 물질의 영역으로 인식해 왔으며, ‘신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양 사람들은 하늘과 땅을 성령의 존재로 인식하여 ‘하늘은 생명의 씨와 기운을 내려 주고, 땅은 그것을 받아 인간과 만물을 생성한다.’고 하는 천지를 인간 생명의 큰 부모로 공경하고 받들며 살아왔습니다. 안운산 태상종도사님께서는 어느 날 낙엽이 깔린 숲 속 길을 산책하시면서 “인생이란 얼마 살다가 저 대자연 속으로 들어.. 2017. 6. 23.
[우주와 인간3]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우주와 인간3]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우리은하▶태양계▶지구별 ★우리은하 [Milky Way Galaxy, ― 銀河] Milky Way-은하, 은하수, 은하계. Galaxy-은하, 화려한 대집단, 성운. ☞우리은하의 구조와 모양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80074 ☞은하(銀河)의 뜻: [천문] 천구상에 남북으로 길게 보이는 수억 개의 항성 무리. ☞항성(恒星)이란? [천문] 태양처럼 스스로 빛과 열을 내며 한자리에 머물러 있어서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별. ☞행성(行星)이란? [천문] 중심이 되는 별의 둘레를 각자의 궤도에 따라 돌면서, 자신은 빛을 내지 못하는 천체. 우리가 몸담고 있는 대우주는 참으로 광대무변합니다. 수천 억 개의 은하계.. 2017. 6. 22.
[우주와 인간2] 우주의 어원 [우주와 인간2] 우주의 어원 宇宙의 대표적인 출처는 천자문이다. 라틴어 우니베르숨(universum)은 유럽의 여러 언어에서 우주를 가리키는 낱말의 어원이 되었다. ☞universe=온누리 고대 그리스어 코스모스(κόσμος) 역시 우주를 가리키는 낱말로서 사용된다. 코스모스(Cosmos)는 질서를 갖는 체계로서의 우주를 뜻한다는 점에서 다른 언어로 대체하기 어려운 독특한 개념이다. 천체를 포함한 우주 전체를 코스모스로 처음 지칭한 사람은 피타고라스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 2017. 6. 22.
[우주와 인간1] 우주(宇宙=공간 宇 +시간 宙)의 정의 [우주와 인간1] 우주(宇宙=공간 宇 +시간 宙)의 정의 ☞우주(宇宙)는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할 수 있다. ▲허블 딥 필드(영어: Hubble Deep Field)는 큰곰자리에 있는 100억 광년 이상 떨어진 은하들이 있는 작은 영역. ▲위 사진은 안드로메다 은하 ①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하고 있다. ②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 그리고 사건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는 시공간(時空間)의 총체로서 정의한다. ③ 무한한 시간(時間)과 온갖 사물을 포괄하는 공간(空間) 대기권 밖의 공간. [천문] 모든 천체를 포함하는 공간. 지구를 포함한 물질과 에너지에 관한 모든 질서계. [철학] 질서 있는 통일체로 생각되는 세계. [물리] 물질과 복사가 존재하는 모든 공.. 2017.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