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신상제7

증산 상제님 어진 봉안식[도기 148, 봉정 원년]과 VOD영상 증산 상제님 어진 봉안식 의미와 그 영상 도기 148 奉正 元年 상제님 어진 봉안식! 기유년(1909) 상제님 어진 봉안 공사 무진년(1928) 상제님 어진 첫 봉안식 이로부터 ‘증산 상제님의 어진 봉안 공사’는 종통전수에 따라 성사재인 되었습니다. 도기 58년(1928, 무진) 1월 제1차 봉안 태모님께서 어진 초본을 봉안- 화사 김옥현 화백 도기 58년(1928, 무진) 3월 제2차 봉안 태모님께서 새로 그려서 봉안- 화사 채정산 화백 도기 78년(1948, 무자) 제3차 봉안 태상종도사님께서 어진을 처음 봉안- 화사 김양재 화백 도기 106년(1976, 병진) 제4차 봉안 태상종도사님께서 개사하여 봉안- 화사 이은택 화백 도기 120년(1990, 경오) 제5차 봉안 태상종도사님께서 황룡포 입은 어진.. 2018. 5. 17.
참전계경 소개: 서론, 목차, 해설 참전계경 소개: 서론, 목차, 해설 참전계경 서론 참전계경은 조선 중종때 이맥에 의해 엮어진 소도경전본훈에 그 이름과 유래 및 8개의 강령되는 일들의 본문 내용들이 실려있다. 그 당시 세간에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고구려의 재상 을파소가 하늘에 기도하고 366가지 일[事]들로 구성되어 있는 이 경을 얻었다고 한다. 366일 또는 360여일 등은 신시 개천 때부터의 치화조목이라고 삼국유사, 조대기 등의 사료에도 기록되어 있으므로 경의 366일이 신시 개천 시대의 366일과 같은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경의 전문[全文]은 1946년에 의해 우종설에 의해 우연히 얻어져 세간에 유포되었다.거기에 수록된 정성[誠], 신의[信], 사랑[愛], 구제[濟], 앙화[禍], 복[福], 갚음[報], 응답[應] 등의 8개 강령.. 2017. 12. 17.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1>환단고기, 상제님 기록(3)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환단고기, 상제님 기록(3) (3) 우리나라는 하느님 문화의 원조 환국, 배달, 조선 이후의 열국시대, 사국시대, 남북국시대에도 우주의 통치자인 상제님과 상제님의 대행자로서 인간세계의 통치자인 황제와의 관계는 지속되었습니다. 기원전 1세기 한무제의 침략을 격퇴한 고두막한은 북부여의 4세 고우루 단군에게 사람을 보내 “나는 천제의 아들”이라 하여 자신과 상제님과의 관계를 밝히고 북부여의 5세 단군으로 등극하게 됩니다. 고구려의 고주몽 성제 역시 “아시천제지자”를 외치며 상제님의 아들임을 자처하였습니다. 또 백성들에게 내린 조칙에서도 “하늘의 신이 만인을 한 모습으로 창조하고 삼진을 고르게 부여하셨다.”라는 가르침을 전수했고 을지문덕은 일찍이 산에 들어가 도를 닦다가 삼신의 성신이.. 2017.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