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일년35 [증산도] 우주일년, 우주1년 만화 [증산도] 우주일년, 우주1년 만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2018. 7. 20. 증산도의 진리 증산도의 진리 이 우주宇宙, 천지라 하는 것이 아무 방향도 없고 목적도 없이 그저 그냥 둥글어 가는 것이 아니다. 대자연의 섭리, 우주의 이법에 의해 목적과 질서가 정해져서 법칙적으로 무궁하게 순환을 하는 것이다. -안운산 증산도 태상종도사님- 인간농사 짓는 우주1년의 진리 우리가 매년 겪고 있는 지구의 1년보다 더 큰 시간의 주기가 있습니다. 그 주기가 바로 우주의 1년입니다. 우주1년의 주기는 지구 1년의 주기와 똑같은 섭리로 돌아갑니다. 단지 농사짓는 대상이 다를 뿐입니다. 지구 1년에서는 초목농사를 짓습니다. 그래서 봄이 되면 온 천하에 싹이 나서 자라 가을이 되면 열매를 맺습니다. 그런데 우주1년 4계절이라는 것은 바로 사람농사를 짓습니다. 우주의 봄에 인간이 태어나서 우주의 여름까지 인간과 인.. 2018. 7. 20. 창조냐 진화냐. ▣창조냐 진화냐. 생물권의 진화 문제를 우주의 사계절 과정에 비추어 보면, 수많은 생물 종은 지금부터 약 5만 년 전 천지의 겨울이 끝나고 봄이 열릴 때(선천개벽) 지상에 화생化生한 것이다. *화생: 천지조화의 변화 기운에 의해 생명이 탄생∙출현하는 것. 물론 이 시기에 화생한 생물권의 조화調和는 과거 수십 억 년 동안 이루어진 지구 생물계의 진화 과정을 총체적으로 반영한다. 이 다양한 종은 봄∙여름의 생장기 동안 숱한 자연도태 과정을 겪으면서 극히 완만하게 진화하였다. 혹은 진화가 정체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인류는 지난 5만 년 동안 비약적인 문명 발전을 이룩했지만 생물학적인 측면에서는 5만 년 전의 인간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지축의 정립을 동반하면서 1년이 360일이 되는 다가올 후천개벽과 .. 2018. 7. 16. [증산도VOD] 인간농사짓는 우주1년 개벽이야기 총정리 [증산도VOD] 인간농사짓는 우주1년 개벽이야기 총정리 *영상출처: 개벽문화북콘서트STB상생방송 / https://youtu.be/laCqwYaHs2U 깨침의 시간, 인간농사 짓는 우주1년 개벽 이야기 우주1년 개벽이야기와 천지개벽공사 9천 년 동안 수많은 구도자들의 기도, 탄식, 눈물 그리고 한 생애를 바친 헤아릴 수 없는 열망을 가진 구도자들의 서원 속에서, 우주1년 도표가 탄생을 하게 된 것입니다. 모든 것은 우주의 주권자, 우주의 통치자이신 상제님의 은혜에 의해서 주어진 것인데요. 개벽이 오는 이치를 밝혀주는 오직 한 장의 그림, 우주1년 도표. 우주1년 이야기. 어떻게 이 세 벌 개벽, 자연과 문명과 인간이 총체적으로 한꺼번에 완전히 새롭게 바뀌는 이 개벽이 오는 것이냐? 이 진리에 대한 근본 .. 2018. 7. 4. [증산도VOD] 생장염장과 우주1년의 목적은 인간농사 [증산도VOD] 생장염장生長斂藏과 우주1년의 목적은 인간농사 지구1년은 초목농사 우주1년은 인간농사 *영상출처: 상생방송STB / https://youtu.be/r8ItHmmZRXI 생장염장의 질서가 시간 순서대로 봄→여름→가을→겨울에 대응해서 자리를 잡고 있는데요. 1년뿐만 아니라 모든 시간이 생장염장의 질서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자 예를 들어볼까요? 시간의 변화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것이 뭐죠? 예. 바로 낮과 밤이죠. 그래서 하루는 인생의 기본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가 뜨면 양의 시간이 됩니다. 낮에는 하루를 시작하고 또 활발히 움직이죠. 그리고 해가 집니다. 음의 시간대인데요. 이 때는 시간이 흐를수록 활동이 줄어들고 하루를 정리하게 됩니다. 잘 아시다시피 하루는 다시 네 마디로 나눌 .. 2018. 7. 4. [증산도VOD] 우주1년과 우주1년 핵심메시지 [증산도VOD] 우주1년과 우주1년 핵심메시지 증산도 다이제스트 개벽-우주1년과 인간으로 오시는 하나님(상제님) 우주의 시간 우주에도 1년이 있다 인류 문명의 봄여름가을겨울 봄·여름·가을·겨울로 순환하는 지구1년 365일이 있듯이, 똑같은 봄·여름·가을·겨울로 순환하는 우주의 1년이 있다. 그리고 그 ‘우주1년은 한 싸이클의 주기가 129,600년이다.’라고 이야기 합니다. 우주1년의 봄철에는 마치 지구1년의 봄에 땅 속에서 초목이 올라오듯이, 인류문명이 탄생·화생하게 됩니다. 우주의 여름철에는 봄철에 탄생한 인류와 문명이, 인구가 증가하고 문명이 성장·발전하게 됩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017년은 우주의 여름철 끝부분에 해당합니다. 자, 그런데 지구1년에도 봄철에 낳고, 여름철에 길러서, 가을철.. 2018. 7. 4. 9천년 우주론 깨달음의 원형, 우주1년 9천년 우주론 깨달음의 원형, 우주1년에 대한 말씀 -월간 개벽 2017년 6월호 안경전 증산도 종도사님 말씀- *영상출처: STB 상생방송 증산도 진리 / https://youtu.be/Fty5lDOZGmM 9천 년 역사를 펼쳐놓고 보면, 환국·배달·조선에서 우주론 깨달음의 원형이 나왔습니다. 인류 문화의 제1의 경전, 하느님의 첫째 계시록인 천부경天符經. 그리고 1에서 10, 열 개의 수를 동서남북 중앙에 배열한 음양문화, 태극문화의 원형인 하도河圖. 그 다음 ‘낳아서 기를 때는 고난을 준다. 상극이 우주의 질서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선천 상극도인 낙서洛書가 있습니다. 7천 년 환국-배달-조선을 거치면서 나온 천부경, 하도, 낙서 그리고 그 후 정역正易. 이런 우주론에 대해서 결론을 내려 준 것은 .. 2018. 6. 15. ▣ 천지 사계절의 변화성 : 방•탕蕩•신神∙도道 ▣ 천지 사계절의 변화성 : 방•탕蕩•신神∙도道 이 우주에는 생장 과정의 선천 문화 5만년 양陽시대와, 성숙하는 통일• 염장 과정의 후천 문화 5만년 음陰시대를 주재하시는, 권능의 대권자이신 인격적인 하나님이 계신다. 대우주의 통치자로서 바로 그 하나님의 위位에 계신 상제上帝님(하나님의 공식 호칭)께서는, 천지조화의 바탕인 ‘기氣의 생성변화 원리’로써 우주 사계절의 변화(생•장•염•장)를 일으키는 천지일월의 변화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혀 주셨다. ●萬物資生(만물자생)하여 羞恥(수치)하나니 放蕩神道(방탕신도)는 統(통)이니라. ... 春之氣(춘지기)는 放也(방야)요 夏之氣(하지기)는 蕩也(탕야)요, 秋之氣(추지기)는 神也(신야)요 冬之氣(동지기)는 道也(도야)니 統(통)은 以氣主張者也(이기주장자야)라 知心.. 2018. 6. 8. 우주 일년의 4대 시간대와 후천 대개벽 운동 ▣ 우주 일년의 4대 시간대와 후천 대개벽 운동 『정역』에 따르면, 우주에는 계절마다 각기 다른 시간대가 있다는 시간의 비밀을 알아낸 사람은 성인 공자이다. 공자는 다가올 미래 대개벽의 360일 시간대를 예고하면서 이렇게 개벽의 한 소식을 전하였다. ●시고是故로 사영이성역四營而成易하고 (『주역』 「계사」상9장) 이것은 우주의 조화옹이 우주 대변화의 한 주기를 네 개 시대로 운영하여, 천지와 인간을 생성 변화시키는 기틀을 열어 놓는다는 말씀이다. 그리고 이 네 시간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밝혀 놓은 분이 바로 김일부 대성사이다.『정역』을 보면 이 내용을 다음과 같이 기록해 놓았다. ●제요지기帝堯之朞는 366일이니라. 제순지기帝舜之朞는 365¼이니라. 일부지기一夫之朞는 375도이니 15를 존공尊空하면 정오부자.. 2018. 6. 8.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소강절 선생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소강절 선생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란 글자가 의미하는 바는 황극인 임금이 세상을 경영하는 글이란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소강절의 역철학 중 가장 절정은 우주 운행의 법칙인 ‘원회운세’로서, 천지개벽의 틀이요, 천지 일원(一元)수인 129,600년의 이수(理數)를 밝힌 것이다. 천지운행의 원리이자 우주 1년의 순환원리, 원회운세(元會運世). 소강절은 주역에 간단히 언급되어 있는 천지만물의 생성원리를 수(數)를 통해 소상히 밝히고 있다. 즉 자연계의 생성과 순환의 원리를 꿰뚫는데 이는 자연과학과 하등 배치되지 않는다. 이는 동양철학의 장점이며 핵심이며 정수이다. 곧 하나로써 전체를 파악하고, 전체를 하나로 꿰뚫는 것이다. 소강절은 삼라만상을 숫자로 아우른다. 음양은 사상으로, 사상은 .. 2017. 12.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