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의 구성7

증산도 인간관人間觀 - 인간이란 무엇인가? 증산도 인간관人間觀 인간이란 무엇인가? 우리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떤 삶이 진정 열매맺는 삶인가? 이런 문제를 깨주는 것이 바로 인간관이다. 상제님의 인간에 대한 근본 가르침은 우주가 여름에서 가을로 바뀐다는 우주이법에 근본을 두고 있다. 후천개벽에 의해서 상제님도 인간으로 오셨다. 그래서 근본사상 가운데 첫째가 후천개벽 사상이다. 후천개벽 때문에 원시반본도 해야 하고, 보은도 해야 하고, 해원도 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볼 때 가을철에는 모든 생명이 근본으로 돌아가야 한다. 자연과 신명과 인간등 만물이 생명의 근원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이것이 가을개벽의 근본정신인 원시반본이며 원시반본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삶의 지침이 보은, 해원, 상생인 것이다. 그리고 정음정양 사상, 인존 사상, 그리고 녹을.. 2017. 11. 1.
신도세계의 구조[1]-인간의 정체와 신도세계의 구조 신도세계의 구조[1]-인간의 정체와 신도세계의 구조 [알기쉬운 증산도] 신도세계의 구조[1] I. 들어가는 글 우리는 신도세계와 한순간도 끊임없이 함께 생활하고 있으나 신도세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거나 명쾌한 증거를 제시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상제님 진리를 전하는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한 설명을 하는 데에는 더욱 세심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그 어려움의 요인으로서 첫째, 신도세계에 대한 설명이 너무 주관적인 체험 위주로 흐를 경우 신비주의로 비춰진다는 것입니다. 둘째, 요즘 세태는 증거주의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보는 것만을 믿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이야기를 듣는 상대방이 기존종교에 물들어 있는 경우 신도세계에 대해서는 논쟁거리가 되기 쉽습니다. 마지막으로 신도.. 2017. 9. 19.
우주와 인간 4-우주존재의 3요소 <1> 道가 있다-②음양의 예와 음양운동 우주와 인간 4-우주존재의 3요소 道가 있다-②음양의 예와 음양운동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안의 모든 것은 음과 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소[丑]와 말[午]을 한번 생각해보죠. 하나는 음이고, 하나는 양입니다. 양의 성질은 동(動)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말[午]이 양에 해당합니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말의 속성에 비유해서 이런 얘기를 하죠. 천방지축으로 날뛰는 여자를 말괄량이라고 하고, 또 풀어놓은 망아지 같다는 얘기도 하죠. 그런데 소[丑]라는 것은 음입니다. 정적이고 유순하죠. 조그만 꼬마가 소를 끌고 가도 소는 그저 느릿느릿 따라갑니다. 발굽을 봐도 말은 양적인 동물이라 하나인 통굽으로 되어 있고, 소는 음에 배속되는 동물이라 소 발굽은 두 개로 갈라져 있습니다. 1 3 5 7 9 홀수는 양의 수(.. 2017.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