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한민족 문화코드

칠성각과 치성광여래

by 태을핵랑 2018. 3. 7.

칠성각과 치성광여래

한韓문화타임즈 박지환 기자 / 승인 2017.10.30 02:01

우리나라 절에는 대부분 칠성각이 있다. 

전통적인 신교神敎와 불교가 적절히 결합된 것이 바로 칠성각이다. 

칠성각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대부분 탱화만을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칠성탱화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부처를 중심으로 북두칠성을 그린 불화다.

 

운악산 봉선사 북두각에 모셔져 있는 치성광여래

 

불교가 우리나라에 보급 되기 전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있던 사상은 신교神敎였는데 

신교의 북극성과 북두칠성 신앙을 불교에서 받아 들이면서 

북극성을 부처님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그 부처가 치성광여래 부처다.

 
치성광(熾盛光)이란 

명칭은 북극성의 빛이 밤하늘의 별 중 가장 밝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서울 봉은사 북극보전

 

서울 봉은사에서는 북극보전北極寶殿에 치성광여래가 모셔져 있다.

 

서울 봉은사 북극보전에 모셔져 있는 칠성도와 치성광여래

 

박지환 기자  youcontents@naver.com

<저작권자 © 한韓문화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북극성[Polaris, 北極星]

-요약 천구의 북극에 위치해 있는 별.

 

작은곰자리

 

작은곰자리 α를 북극성이라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북신(北辰)이라고도 한다.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 1h 48.4m, 적위 89° 2'으로, 천구북극에서 불과 떨어져 있으며, 천구북극을 중심으로 작은 반지름으로 일주운동을 하고 있다.

회전반경이 매우 작아서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안시등급 2.5등의 비교적 밝은 별로 옛날부터 방위의 기준이 되어 항해자나 나그네의 친근한 벗이 되었다.

 

지구로부터의 거리 약 400광년, 분광형 F8의 초거성이다.

또한, 주기 3.97일의 세페이드변광성으로, 2.5등에서 2.64등 사이를 오르내린다.

그러나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자전축의 방향, 즉 천구북극이 서서히 이동하므로, 작은곰자리 α는 천구북극에서 점차 멀어지고, 12000년 후에는 거문고자리 α인 직녀성(Vega)이 북극성이 될 것이다. 지금부터 5000년 전에는 용자리 α가 북극성이었다.

 

 

 

 

 

 

 

 

​책(서적), 자료 무료 증정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이 시대 누구나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