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정보코드/개벽대비하기

불의 고리 불안정..."더 큰 지진 발생할 수도 있다"

by 태을핵랑 2017. 9. 22.

[취재N팩트] 불의 고리 불안정..."더 큰 지진 발생할 수도 있다"

YTN 정혜윤 입력 2017.09.21. 13:31

 

 

[앵커] 멕시코 강진 피해가 확산하는 가운데, 밤사이 일본과 타이완에서도 지진이 잇따랐습니다.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라 불리는 지역이어서 연쇄 지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혜윤 기자!

먼저 멕시코 상황부터 알아보죠, 여진이 계속되고 사망자도 늘고 있다면서요?

[기자] 우리 시각으로 어제 새벽 규모 7.1의 강진이 발생한 멕시코 시티에는 크고 작은 여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시민들은 진동이 계속되자 불안감이 커져 귀가하지 못하고 대피소에 머물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망자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당국이 집계한 사망자는 현재 한국 교민 1명을 포함해 225명에 달합니다.

여기에는 초등학교가 무너지며 한꺼번에 참변을 당한 어린아이도 20여 명이 포함됐습니다.

멕시코 역사상 최악의 지진은 1985년 발생한 규모 8.1의 대지진인데요,

당시 만 명 이상의 희생자가 났습니다.

그런데 32년 만에 같은 날, 규모 7.1의 강진이 일어나면서 멕시코 전역이 지진 공포에 휩싸여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번 지진은 규모에 비해 건물이 붕괴하는 등 피해가 무척 컸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이유가 뭔가요?

[기자] 2가지 정도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지형적인 요인과 내진 설계입니다.

우선 멕시코 시티는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에 속한 데다 지형적으로 보면 3개의 지각판이 만나는 곳입니다.

북아메리카판, 태평양판, 코코스판 이렇게 거대한 3개의 지각판이 만나면서 다른 지역에 비해 힘이 더 축적되는 곳이라는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진앙이 조금 떨어진 곳에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지역에 비해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고, 규모보다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지진에 감당할 수 있는 내진 설계도 충분히 되어 있지 않아 피해를 더 키운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멕시코 지진 이후 밤사이 또 불의 고리 지역에서 지진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다고요?

[기자] 밤사이 불의 고리 지역에서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잇따랐는데요.

먼저 어젯밤에는 타이완 동쪽 해상에서 규모 5.7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피해는 없었지만 타이둥 현과 화롄 현에서는 각각 진도 5와 4의 흔들림이 감지됐다고 타이완 당국이 전했습니다.

이어 오늘 새벽에는 일본 동쪽 해상에서 규모 6.1, 남태평양 바누아투의 에로망고 섬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타이완과 바누아투, 일본 모두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에 속해 있는 지역입니다.

[앵커] 멕시코 강진과 밤사이 일어난 지진이 연관이 있다고 봐야 하나요?

[기자]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각기 지진을 일으키는 지각판은 다르지만, 멕시코 지진의 에너지가 퍼져 나가면서 다른 지각에 영향을 줄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올해는 불의 고리 지역의 강진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멕시코에 규모 8.1과 7.1의 강진이 발생한 것 이외에도, 페루와 볼리비아, 칠레에도 규모 6이 넘는 지진이 잇따랐습니다.

피지와 파푸아 뉴기니, 필리핀에서도 규모 6~8에 달하는 강진이 일어났습니다.

거기에 멕시코 강진과 비슷한 시기, 남미 안데스 산맥의 '사반카야' 화산도 대규모 폭발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불의 고리에서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YTN 과학재난팀 정혜윤입니다.

 

 

*영상출처: YTN NEWS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미래정보코드 > 개벽대비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벽(開闢)이란?  (0) 2017.11.01
[환단고기] 동학으로부터 선언된 병란, 앞으로 이름을 알 수 없는 병이 온다  (0) 2017.10.26
심상치 않은 '불의 고리' 움직임…'대지진 주기설' 공포  (0) 2017.09.22
경주지진의 여진 1년새 총 635회 발생.... 원인은?  (0) 2017.09.18
[증산도] 대전 개벽문화 북콘서트 1,2부  (0) 201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