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산도메시지/8.우주1년,우주법칙

남극의 얼음기둥 분석으로, 빙하기와 간빙기를 밝히다

by 태을핵랑 2017. 12. 12.

남극의 얼음기둥 분석으로, 빙하기와 간빙기를 밝히다

 

남극의 얼음기둥 분석 지난 34만년동안 ‘빙하기-간빙기’가 3번 교차

 

우주일년 129,600년에 대한 과학적 자료로서 월간과학 Newton지 (1997년 10월호)에 실린 내용을 간추려 소개한다. 남극의 얼음기둥에 함유된 물질을 분석한 결과 지난 34만년 동안 빙하기와 간빙기가 3번 바뀌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지구의 과거는 남극대륙을 덮고 있는 수㎞ 두께의 얼음에 가장 잘 간직되어 있다.

남극 빙상에는 태양, 삼림, 사막, 화산등을 기원으로 하는 다양한 물질이 운반되어, 오랜 세월동안 눈과 함께 퇴적된다. 이 눈은 녹지 않고 해마다 쌓여 차츰 얼음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도 기포 형태로 얼음 안에 갇힌다.

과학자들은 이 얼음 속의 여러 물질을 분석하여, 과거 수십만년 동안의 지구 기후 변화를 높은 정밀도로 복원해 낸다. 그래서 남극 빙상은 지구 환경의 타임캡슐로 일컬어진다.


1996년 12월, 표고 3810m에 있는 남극의 돔후지 관측 기지에서, 2503.52m 깊이의 빙상코어가 채취되었다. 과학자들이 이 빙상코어의 얼음속에 포함된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하여 과거 기온을 복원하고 각 시대별 환경을 추적한 결과, 25층의 화산회를 찾아내고 지난 34만년동안 ‘빙기-간빙기’가 3번 교차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약 12만년에 달하는 기후변화의 대주기, 그리고 대 격변의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화산회의 흔적이 그렇다. 이 데이터는 증산도에서 말하는 우주일년 129,600년의 타당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출처 : http://www.jsd.or.kr/jsd.net/?sec=lecture&act=view&bid=306&bclass=3&page=1&no=15&sid=9164

 

 

------------------------------------------------------------------------------

 

<월간과학 Newton,1997.10>

만약 우주일년 주기가 과거에 여러 차례 반복되었다면, 과거 지구변화의 발자취를 추적하여 우주일년의 주기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눈과 함께 퇴적된 얼음 속의 여러 물질들을 분석

 

 

지구의 과거는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수 km 두께의 얼음에 가장 잘 간직되어 있다. 남극 빙상에는 태양, 삼림, 사막, 화산 등을 기원으로 하는 다양한 물질이 운반되어, 오랜 세월 동안 눈과 함께 퇴적된다. 이 눈은 녹지 않고 해마다 쌓여 차츰 얼음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도 기포 형태로 얼음 안에 갇힌다.

과학자들은 이 얼음 속의 여러 물질들을 분석하여, 과거 수십만 년 동안의 지구 기후 변화를 복원해 낸다. 그래서 남극 빙상은 지구 환경의 타임캡슐로 일컬어진다. 약 12만 년에 달하는 기후 변화의 대주기, 그리고 대격변의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화산회의 흔적이 그렇다.

1996년 12월, 표고 3810m에 있는 남극의 돔후지 관측 기지에서, 2503.52m 깊이의 빙상코어가 채취되었다.

과학자들은 이 빙상코어의 얼음속에 포함된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과거 기온을 복원하고 각 시대별 환경을 추적한 결과, 25층의 화산회를 찾아내고 이 얼음기둥에 함유된 물질을 분석한 결과 지난 34만년 동안 빙하기-간빙기가 3번 바뀌었다.

 

이 얼음기둥에 함유된 물질을 분석한 결과 지난 34만 년 동안 빙하기와 간빙기가 3번 바뀌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남극 얼음 뚫어 42만년간 4번의 빙하기 밝혀

 

- ‘빙하 시추’ 98년에 시작

[조선일보] 입력 : 2004.05.31 19:16 / 수정 : 2004.05.31 19:16

 

남극 얼음 속에서 발견된 미생물

 

 

영화에서는 극지의 얼음을 시추해 과거 기후를 알아보는 장면이 나온다.

이런 연구는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

남극의 가장 높은 3488m 고지에 위치한 러시아 보스토크 기지에서는 1998년 1월 3623m 깊이까지 얼음 기둥을 시추했다. 이 얼음 기둥을 분석한 결과, 지난 42만년 동안 4번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이 얼음 기둥에 나타난 빙하기와 간빙기의 시기와 이산화탄소의 함량 고저가 일치한다는 것. 즉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을 때는 온도가 높은 간빙기였고, 낮을 때는 추운 빙하기였다.

이 얼음 기둥에 나타난 빙하기의 기온은 보스토크 기지의 연평균 기온(-55.4도)보다 약 8도 정도 낮고, 간빙기 때의 최고 온도는 약 2도 정도 높았다.

이는 빙하기와 간빙기의 차이가 10도 정도였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남극이 기온의 연교차가 적은 지역임을 감안하면 굉장한 수치다.

때문에 보스토크의 얼음 기둥에 들어 있는 간빙기와 빙하기의 기온 차는 지구의 다른 지역에서는 더 크게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4053170388&srchCol=news&srchUrl=news1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