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3]

by 태을핵랑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3]

 

觀物外篇 上 [3]

 

■ 체수體數의 책策은 384 인데 건乾 · 곤坤 · 리離 · 감坎의 책策 을 버리면 용수用數인 360 이 된다. 체수體數의 용用은 270 인데 건乾 · 리離 · 감坎 의 책策을 버리면 용수用數의 용用인 252가 된다. 체수體數의 용用은 270 인데 그 가운데 156 은 양陽이고 114 는 음陰이다. 리離 의 책策을 버리면 152 의 양陽과 112 의 음陰을 얻게 되는데 이것은 실용實用의 수數이다. 대개 양陽은 리離를 버리고 건乾을 쓰며, 음陰은 곤坤을 버리고 감坎을 쓴다. 그러므로 하늘의 양책陽策은 112 인데 음陰을 버린 것이며, 땅의 음책陰策도 112 인데 양책陽策 40 에서 남북南北의 양陽을 버린 것이다. 남쪽의 맨 끝은 몹시 덥고 북쪽의 맨 끝은 몹시 추워 물체가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제외시킨 것이다. 40 은 하늘의 나머지이다. 양陽이 음陰을 업신여기고 낮이 밤을 깔보는 것은 땅에 있어서이다. 합하여 152 의 양陽이 되고 112 의 음陰이 된다. 양陽에서 건乾의 책策을 버리고 음陰에서 감坎의 책策을 버리면 144 의 양陽과 108 의 음陰을 얻게 되는데 이것은 용수用數의 용用이다. 양 36 에 3 을 곱하면 108 이 되고 음 36 에 3 을 곱하면 108 이 되는데 삼양三陽 · 삼음三陰 하니 음양陰陽 이 각각 반이다. 양陽 에 나머지 1 이 있어 36 으로 되며 합하면 144 의 양陽이 되고 108 은 음陰이 된다. 그러므로 체수體數의 용用은 270 이나 실제로 쓰는 것은 264 이며 용수用數의 용用은 252 가 된다. 괘卦는 64 개가 있으나 쓰는 것은 36 개에서 그치고 효爻는 384 개가 있으나 쓰는 것은 216 개에서 그친다. 64 를 나누면 256 이 된다. 그러므로 1 괘卦에서 초효初爻와 상효上爻를 버리면 이 또한 256 이 되는데 이것은 생물生物의 수數이다. 그러므로 리離 와 감坎은 생물의 주主가 되며, 이괘離卦는 네 개의 양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감괘坎卦 네 개의 음陰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생물도 반드시 4 로 되어 있다. 양陽도 112 이고 음陰도 112 인데 감괘坎卦와 이괘離卦의 효爻를 버리면 216 이 되고 음양陰陽의 40 을 합치면 256 이 된다. 그래서 팔괘八卦는 여섯 개의 효爻를 쓰고 건괘乾卦와 곤괘坤卦가 주主가 되며, 여섯 개의 효爻는 4 위位를 쓰고 감괘坎卦와 이괘離卦가 주主가 된다. 그러므로 하늘의 아침과 저녁에 물체가 자라지 못하지만 한낮에 물체가 자라며, 땅의 남극과 북극에 물체가 자라지 못하지만 한낮에 물체가 자라며, 땅의 남극과 북극에 물체가 자라지 못하지만 적도에는 물체가 자란다. 체수體數는 무엇을 하는가? 물체를 자라게 한다. 용수用數는 무엇을 하는가? 운행하게 한다. 운행하는 것은 하늘이고 물체를 자라게 하는 것은 땅이다. 하늘은 홀로 운행하므로 용수用數를 맨 처음 서로 곱하면 용수用數의 용用이 되는데 물체를 자라게 하는 때이며, 땅은 짝으로 자라기 때문에 체수體數의 용用으로 양陽에 음陰을 곱하면 생물의 수數가 된다. 하늘의 수는 3 이므로 6 에 6 을 곱하고 다시 도 6 을 곱하면 건乾의 책策인 216 이 된다. 땅의 수는 2 이므로 12 에 12 를 곱하면 곤坤의 책策인 144 가 된다. 건괘乾卦는 9 를 쓰므로 3 에 8 을 곱하면 24 가 되고 다시 9를 곱하면 이 또한 216 이 되며, 2 에 8 을 곱하면 16 이 되고 다시 9 를 곱하면 이 또한 144 가 된다. 곤괘坤卦는 6 을 쓰므로 3 에 12 를 곱하면 36 이 되고 다시 6 을 곱하면 이 또한 216 이 되며, 2 에 12 를 곱하면 24 가 되고 다시 6 을 곱하면 이 또한 144 가 된다. 곤坤 은 12 로 24 가 되고 여기에 6 을 곱하는 것으로 6 의 1 과 반이 건乾의 나머지가 되기 때문에 건乾은 152 를 얻고 곤坤은 108 을 얻는다.

 

■ 양陽인 4 개의 괘卦와 12 개의 효爻 에서 8 은 양陽이고 4 는 음陰이며, 36 으로 양陽을 곱하고 24 로 음陰을 곱하면 384 가 된다.

 

 

■ 괘卦의 반대는 모두 6 양陽과 6 음陰이다. 역易에서 6 양陽과 6 음陰은 12 와 짝이 되고 4 정正 을 버리면 8 양陽과 4 음陰 · 8 음陰과 4 양陽이 되는데, 각각 여섯 쌍이 있고 10 양陽과 2 음陰 · 10 음陰과 2 양陽은 각각 3 쌍이 있다.

 

■ 체體에 384 가 있지만 쓰는 것은 360 에서 그친다. 어째서인가? 건乾 · 곤坤 · 감坎 · 리離 를 쓰지 않아도 360 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물이 변역變易을 해도 이 넷은 변하지 않는다. 무릇 변하지 않는 것은 변화를 잘하기 때문이다. 용用이 360 에서 그치지만 366 이 있는 것은 왜인가? 수數가 남기 때문이다. 수數가 남으면 어떻게 쓰이는가? 건乾만을 온전히 쓰는 것이다. 건乾 · 곤坤은 쓰지 아니하나 감坎 · 리離 는 반을 쓴다. 건乾을 온전히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양陽이 남는 것을 맡아보는 것이다. 건乾 · 곤坤을 쓰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독양獨陽은 생기게 하지 못하고 전음專陰은 이루게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감坎 · 리離는 반을 쓴다는 것은 무엇이낙? 감坎은 서쪽이 되고 리離는 동쪽이 되어 음양陰陽의 반과 같고 봄·가을, 밤·낮이 문이 되기 때문이다. 건乾을 쓰기도 하고 감坎 · 리離 를 쓰기도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양陽을 내세워 말하기 때문에 건乾을 쓰는 것이며, 남는 것을 내세워 말하면 양陽이 음陰을 업신여기고 낮이 밤을 깔보기 때문에 감坎 · 리離를 쓰는 것이다. 양陽이 남음을 맡음으로 건乾을 온전히 쓸 수 있으며, 음陰이 모자람을 맡음으로 곤坤을 쓰지 못한다. 양陽이 음陰을 업신여기고 음陰이 양陽을 업신여김으로 감坎 · 리離는 반을 쓰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하늘의 남쪽은 전부 보이고 북쪽은 전부 안 보이며 동쪽과 서쪽은 각각 반만 보이는 것이다. 감坎과 리離는 음양陰陽의 끝이다. 그러므로 리離는 인寅과 같고 감坎은 신申과 같다. 그리고 수數가 항상 넘치는 것은 대개 음양陰陽이 넘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수用數는 인寅을 넘지 않고 효수爻數는 신申을 넘지 않는다.

건乾은 48 이나 1/4 로 나누면 음陰의 제재를 받으며, 곤坤은 48 이나 1/4 로 나누면 양陽의 제재를 받는다. 그러므로 건乾은 36 을 얻고 곤은 12 를 얻는다. 양陽이 진進을 맡아보기 때문에 360 일을 올리게 되고 음陰은 소消를 주관하기 때문에 12 월에 12 일을 내리게 된다. 순수順數는 건乾 1, 태兌 2, 리離 3, 진震 4, 손巽 5, 감坎 6, 간艮 7, 곤坤 8 이 되고 역수逆數는 진震 1, 리태離兌 2, 건乾 3, 손巽 4, 감간坎艮 5, 곤坤 6 이 된다. 건乾 48, 태兌 30, 리離 24, 진震 10, 곤坤 12, 간艮 20, 감坎 36, 손巽 40 이 되고 건乾 36, 곤坤 12, 리태손離兌巽 28, 감간진坎艮震 20 이 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