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5]

by 태을핵랑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5]

 

觀物外篇 上 [5]

 

■ 원圓은 1 변變하면 6 을 낳는데 1 을 버리면 5 가 되고 2 변變하면 12 를 낳는데 2 를 버리면 10 이 되며, 3 변變하면 18 을 낳는데 3 을 버리면 15 가 되고 4 변變하면 24 를 낳는데 4 를 버리면 20 이 되며, 5 변變하면 30 을 낳는데 5 를 버리면 25 가 되고 6 변變하면 36 을 낳는데 6 을 버리면 30 이 된다. 그러므로 남기면 6 · 6 이 되고 버리면 5 · 5 가 된다. 5 는 4 에서 1 이 남고 4 는 3 에서 1 이 남으며 2 는 1 에서 1 이 남는다. 그러므로 1 은 2 를 낳으나 1 을 버리면 1 이 되고 2 는 3 을 낳으나 1을 버리면 2 가 되며, 3 은 4 를 낳으면 1 을 버리면 3 이 되고 4 는 5 를 낳으나 1 을 버리면 4 가 된다. 이 때문에 2 는 1 을 근본으로 삼고 3 은 2 를 근본으로 삼으며, 4 는 3 을 근본으로 삼고 5 는 4 를 근본으로 삼으며 6 은 5 를 근본으로 삼는다. 방方 은 1 변變하면 4 가 되는데 4 는 8 을 낳고 4 를 아우르면 12 가 된다. 8 은 12 를 낳고 8 을 아우르면 20 이 된다. 12 는 16 을 낳고 12 를 아우르면 28 이 된다. 16 은 20 을 낳고 16 을 아우르면 36 이 된다. 1 은 3 을 낳고 아우르면 4 가 된다. 12 는 20 을 낳고 아우르면 32 가 된다. 28 은 36 을 낳고 아우르면 64 가 된다.

 

 

■ 역易의 대연大衍은 어떤 수數인가? 성인이 의지하는 수數이다. 천수天數 25 를 합하면 50 이 되고 지수地數 30 을 합하면 60 이 된다. 그러므로 5 위位는 서로 얻어 각각 합함이 있다. 50 은 시蓍의 수數이고 60 은 괘수卦數이다. 5 는 시蓍의 소연小衍이다. 그러므로 50 은 대연大衍이다. 8 은 괘卦의 소성小成이므로 64 는 대성大成이다. 시蓍의 덕德은 원圓인데 하늘의 수數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7 곱하기 7 은 49 가 되고 50 은 1 을 남기며 말하는 것이다. 괘卦의 덕德은 방方인데 땅의 수數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8 곱하기 8 은 64 가 되고 60 은 4 를 버리며 말하는 것이다. 시蓍는 용수用數이고 괘卦는 체수體數이다. 용用은 체體를 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1 을 남기고 체體는 용用을 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4 를 버린다. 원圓의 근원은 1 이고 방方의 근원은 4 이다. 그러므로 시蓍는 1 을 남기고 괘卦는 4 를 버린다. 시蓍의 용수用數는 7 인데 그 나머지를 아우르면 또 1 을 남긴다는 뜻이다. 점칠 때 1 을 거는 것은 또 1 을 버린다는 뜻이다. 시蓍의 용수用數에서 1 을 거는 것은 3 을 본받는 것으로 그 나머지 48 이 1 괘卦의 책策이다. 4 에 12 를 곱하면 48 이고 12 에서 3 을 빼면 9 가 남는다. 4 에 3 을 곱하면 12 인데 이것은 버리는 책策이다. 4 에 9 를 곱하면 36 인데 이것은 쓰이는 책策이며, 건乾의 36 양효陽爻와 같다. 12 에서 5 를 빼면 7 이 남고 4 에 5 를 곱하면 20 인데 버리는 책策이다. 4 에 7 을 곱하면 28 인데 쓰이는 책策이며, 태兌 · 리離 의 28 양효陽爻와 같다. 12 에서 6 을 빼면 6 이 남고 4 에 6 을 곱하면 24 인데 버리는 책策이다. 4 에 6 을 곱하면 24 인데 쓰이는 책策이며, 곤坤의 1/2 인 24 음효陰爻와 같다. 12 에서 4 를 빼면 8 이 남고 4 에 4 를 곱하면 16 인데 버리는 책이다. 4 에 8 을 곱하면 32 인데 쓰이는 책이며, 간艮 · 감坎의 24 효爻에서 상괘上卦의 8 음陰을 아우른 32 효爻오 같다. 그러므로 7 · 9 는 양陽이고 6 · 8 은 음陰이다. 9 는 양陽의 극수極數이며 6 은 음陰의 극수極數이다. 수數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면 되돌아오게 되므로 괘卦가 변하게 된다. 진震 · 손巽이 책策이 없는 것은 불용不用의 수數와 같기 때문이다. 하늘은 강剛을 덕德으로 삼기에 유柔는 드러나지 않는다. 땅은 유柔를 바탕으로 삼기에 강剛은 자라지 못한다. 이 때문에 진震 · 손巽 은 쓰지 않는 것이다. 건乾은 9 를 쓰므로 책策은 9 이다. 4 는 사시四時에 응하는데 1 시時는 90 일日이다. 곤坤은 6 을 쓰므로 그 책策 또한 6 이다.

 

 

기수奇數에 넷이 있는데 1, 2, 3, 4 이고 책수策數에 넷이 있는데 6, 7, 8, 9 이다. 이들을 합하면 8 수數가 되는데 이것은 방수方數의 8 변變에 응하는 것이다. 기수奇數로 돌아가 거는 수數를 합치면 6 이 되는데 5 와 4 · 4, 9 와 8 · 8, 5 와 4 · 8, 9 와 4 · 8, 5 와 8 · 8, 9 와 4 · 4 는 원수圓數의 6 변變에 응하는 것이다.

 

■ 기수奇數는 4 에서 끝나기 때문에 5 를 쓰지 않고 책수策數는 9 에서 끝나기 때문에 10 을 쓰지 않는데 5 는 1 이고 10 은 2 이다. 그러므로 50 은 버리고 49 를 쓰는 것이다. 기수奇數는 5 를 쓰지 않고 책수策數는 10 을 쓰지 않는 것은 유무有無의 최고조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자연의 수數에 있어서랴.

 

■ 괘卦에 64 가 있으면서 쓰는 것은 60 에서 그치는데 왜 그런가! 60 괘卦는 360 효爻 이다. 그러므로 갑자甲子는 60 에서 그치며, 육십갑자를 하면 천도天道가 다하는 것이다. 그래서 책수策數에 응하는 것이다. 36 에 24 를 더해도 60 이 되고 32 에 28 을 더해도 60 이 된다.

 

■ 건乾은 48 이고 곤坤은 12 이고, 진震은 20 이고 손巽은 40 이고 리離 · 태兌는 32 이고 감坎 · 간艮은 28 인데 합하면 60 이 된다. 시蓍의 수數는 온전하므로 양책陽策 36 과 28 을 합하면 64 가 된다. 괘수卦數는 4 를 버리므로 음책陰策 24 와 32 를 합하면 56 이 된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