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2]

by 태을핵랑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상 [2]

 

觀物外篇 上 [2]

  

360 이 변하여 129,600 이 되고 129,600 이 변하여 167 억 9,616 만 이 된다. 167 억 9,616 만이 변하여 28,211 조 990 만 7,456 이 된다. 360 은 시時가 되고 129,600 은 일日이 되고 167 억 9,616 만은 월月이 되고 28,211 조 990 만 7,456 억은 년年이 되는데 그리하여 대운大運과 소운小運의 수數가 이루어진다. 28,211 조 990 만 7,456 억을 12 로 나누면 앞의 6 은 장長이 되고 뒤의 6 은 소消가 되는데 이것은 1 년 12 월의 수數, 그리고 360 일 진퇴進退와 같다. 167 억 8,616 만을 10 으로 나누면 1 월 10 일의 수數와 같다. 대운大運의 소장消長을 따라 60 일 진퇴進退가 있다. 129,600 을 12 로 나누면 1 일 12 시時의 수數, 그리고 6 일 진퇴進退와 같다.

360 은 1 시時와 수數와 맞먹고 소운小運의 올림과 버림을 따르면 주야晝夜의 때와 같다. 16 변變의 수數는 교수交數를 버리고 용수用數를 취하여 28,211 조 991 만 7,456 억을 얻는다. 이 28,211 조 991 만 7,456 억을 12 한限으로 나누면 앞의 6 한限은 장長이 되고 뒤의 6 한限은 소消가 된다. 각 한限마다 20 억 9,968 만의 167 억 9,616 만을 얻으며, 매 167 억 9,616 만 년을 1 분分씩 벼르면 60 일 올림이 된다. 6 한限에 6 분分씩 벼르면 360 일 올림이 되어 오히려 나머지 1 이 있게 되며, 7 분分씩 벼르면 366 일 올림이 된다. 그 퇴退도 이와 같다. 129,600 에서 3 을 뺀 것이 교수交數이고 7 을 취한 것이 용수用數이다. 용수用數는 3 이고 6 에서 이루어지는데 나머지를 보탬으로써 7 이 된다. 7 은 90,720 년年을 얻는데 반은 45,360 년이니 6 일이 올라간다. 일日에는 주야晝夜가 있고 수數에는 초하루와 그믐이 있어 12 일을 얻는다. 매 3,600 년에 1 일이 올라가고 4,320 년에 12 일이 올라가게 되며 나머지 2,160 년에 나머지 6 이 올라가 교수交數의 2,190 년과 합하는데 모두 12 분分씩 올라가 윤閏이 된다. 그러므로 소운小運의 변變은 무릇 60 하고도 366 일에서 이루어진다.

 

 

■ 건乾은 1 로 건괘의 5 효爻가 나누어져 대유괘大有卦가 되는데 360 수數와 같고 건괘乾卦의 4 효爻가 나누어져 소축괘小畜卦가 되는데 129,600 의 수數와 같으며, 건괘乾卦의 3 효爻가 나누어져 이괘履卦가 되는데 167 억 961 만의 수數와 같고 건괘乾卦의 2 효爻가 나누어져 동인괘同人卦가 되는데 28,211 조 990 만 7,456 억의 수數와 같으며, 건괘乾卦의 초효初爻가 나누어져 구괘?卦가 되는데 7자 9,586 만 6,110 해垓 9,946 만 4,008 경京 8,439 만 1,936 조兆 의 수數와 같다. 이것을 분수分數라고 하는데 큰 것을 나누어 작게 하는 것이다. 모두 위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므로 양수陽數이다.

 

■ 하늘은 체體를 총괄하므로 8 변變하여 16 에서 그치고 땅은 용用을 나누어 맡으므로 6 변變하여 12 에서 그친다. 하늘은 1 에서 시작하여 7 자 9,586 만 6,110 해垓 9,946 만 4,008 경京 8,439 만 1,936 조兆 에서 그치고 땅은 12 에서 시작하여 204 자 6,980 만 7,381 해垓 5,491 만 8,499 조兆 720 만 억億 에서 그친다.

 

■ 1 은 2 를 낳는데 쾌괘?卦가 되며 12 의 수數와 같다. 2 는 4 를 낳는데 대장괘大壯卦가 되며 4,320 의 수數와 같다. 4 는 8 을 낳는데 태괘泰卦가 되며 5 억 5,987 만 6,915 억 2,000 만의 수數와 같다. 8 은 16 을 낳는데 임괘臨卦가 되며 944 조 3,699 만 6,915 억 2,000 만의 수數와 같다. 16 은 32 를 낳는데 복괘復卦가 되며 2,652 만 8,870 해垓 3,664 만 8,800 경京 2,947 만 9,731 조兆 2,000 만 억億의 수數와 같다. 32 는 64 를 낳는데 곤괘坤卦가 되며 무극無極의 수數와 같다. 이것을 장수長數라고 하는데 작은 것이 자라서 커지는 것이다. 모두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므로 음수陰數이다.

 

■ 땅이 있은 뒤에 2 가 있고 2 가 있은 뒤에 낮과 밤이 있다. 2 와 3 이 변하고 한데 어울려 뒤섞이어 이루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易은 2 에서 생기고 수數는 12 에서 변한다. 따라서 1 은 수數가 아니다. 수數가 아닌데 수數를 이루는 것이다. 하늘에서는 그리 낮과 밤이 필요 없다. 사람이 땅 위에 살면서 낮과 밤으로 여겼다. 그러므로 땅 위의 수數는 사람이 쓴다.

 

■ 하늘은 임괘臨卦 위부터, 땅은 사괘師卦 위부터가 운수運數 이다. 하늘은 동인괘同人卦 아래부터, 땅은 박괘剝卦 아래부터가 연수年數이다. 운수運數는 하늘에 있는 것이고 연수年數는 땅에 있는 것이다.

하늘은 비괘?卦 위부터, 땅은 간괘艮卦 위부터가 용수用數이다. 하늘은 명이괘明夷卦 아래부터, 땅은 비괘否卦 아래부터가 교수交數이다. 하늘은 진괘震卦 위부터, 땅은 진괘晉卦 위부터가 유수有數이다. 하늘은 익괘益卦 아래부터, 땅은 예괘豫卦 아래부터가 무수無數이다.

 

■ 하늘에 있는 수數는 건乾에서 시작하여 진震에서 그치며 나머지는 무無로 들어가는데 그리하면 천신天辰을 볼 수 없게 된다. 땅은 1 을 버리고 12 에서 시작하며 지화地火는 늘 숨어 있다. 그러므로 하늘은 체[天]을 기틀로 삼지만 항상 그 기틀을 숨기고 있으며, 땅은 용用을 근본으로 삼지만 그 용用을 감추고 있다. 1 시時는 3 월月에서 그치고 1 월月은 30 일日에서 그치는데 모두 신수辰數를 뺀 것이다. 이 때문에 8 곱하기 8 을 하면 괘卦가 64 가 되는데 변하지 않는 것은 8 이고 변하는 것은 7 이다. 7 곱하기 8 을 하면 56 이 되는데 그 뜻도 여기에서 말미암는다.

 

■ 양효陽爻는 주수晝數이고 음효陰爻는 야수夜數이다. 하늘과 땅이 서로 품고 음양陰陽이 서로 뒤섞이므로 밤과 낮은 서로 떨어지고 강유剛柔는 서로 어그러지게 된다. 봄과 여름은 양陽이기 때문에 주수晝數가 많고 야수夜數가 적으며, 가을과 겨울은 음陰이기 때문에 주수晝數가 적고 야수夜數가 많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