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정보코드/개벽대비하기163

갈수록 강해지는 한반도 지진 분석 갈수록 강해지는 한반도 지진 분석 갈수록 세지는 한반도 지진...대지진 전조? / YTN (Yes! Top News) [13분04초] *영상출처: YTN NEWS / https://youtu.be/SwaGLYaTdCk 게시일: 2016. 9. 12. ■ 김진두 / YTN 과학기상팀장 [앵커] 기상 관측 이래 규모 5.0 이상 지진은 총 9번이었는데 그중 3번이 최근 두 달 사이에 발생했습니다.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그런 이유이기도 합니다. 원인은 뭔지 또 앞으로 지진 전망은 어떤지 김진두 YTN 과학기상팀장과 함께 자세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기자] 안녕하세요. [앵커] 어제 저녁 본진이었던 5.1 지진 이후에도 밤 사이 한 200회가 넘는 여진.. 2018. 2. 13.
포항지진 이미 예됐다...경주지진 여파 [홍태경교수 인터뷰] 포항지진 예측한 홍태경 교수 포항 지진 이미 예측됐다…경주 지진 여파 / YTN 사이언스 *영상출처: YTN SCIENCE / https://youtu.be/XhIt2sJNayg 게시일: 2017. 11. 15. [앵커] 이번 포항 지진은 이미 지난해 발생 가능성이 예측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주 지진의 여파가 강하게 영향을 준 지역에 포항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혜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한반도에서 일어난 역대 가장 강한 지진인 경주 지진의 규모는 5.8. 히로시마 원폭의 5~6배에 달하는 지진 에너지가 한 번에 분출한 것입니다. 강력한 지각 에너지가 주변 지각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연세대 홍태경 교수는 지난해 경주 지진 직후, 이 지진 에너지가 퍼져 나가는 방.. 2018. 2. 13.
포항 여진, 단층면 확장 가능성…“응력 더 커졌다” 포항 여진, 단층면 확장 가능성…“응력 더 커졌다” 경주,포항 지진 전후 응력 변화 포항 여진, 단층면 확장 가능성…“응력 더 커졌다” | KBS뉴스 | KBS NEWS *영상출처: KBS뉴스 https://youtu.be/NdDyKGwax5U 게시일: 2018. 2. 12. 일반적으로 여진이 발생하면 그동안 쌓였던 지진 에너지가 해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어제(11일) 포항 여진의 경우 기존의 단층면을 추가로 균열시켜, 새로운 지진의 위험을 키웠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이정훈 기상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4.6의 여진은 지난해 11월 본진의 진앙에서 남서쪽으로 4.6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습니다. 그동안의 여진 위치와 겹쳐 보면 남서쪽 끝자락에 위치합니.. 2018. 2. 13.
포항 지진 이미 예측되었던 일? 포항 지진 이미 예측되었던 일? 포항 지진의 여진?..."새로운 지진일 수도" / YTN *영상출처: YTN NEWS https://youtu.be/53xTweutR4I 게시일: 2018. 2. 10. [앵커] 오늘 지진은 지난해 규모 5.4의 지진을 일으킨 단층대의 남서쪽 끝 부분에서 발생했습니다. 기상청은 여진으로 분석했지만, 강도가 워낙 세 새로운 지진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규모 5.4의 지진이 일어난 이후 포항에는 보름 정도 여진이 잇따랐습니다. 하지만 12월 5일 규모 2.1의 여진을 끝으로 이후 한 달 정도는 잠잠했습니다. 그런데 2월 들어 다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2월 2일부터 6일까지 닷새 동안 총 5.. 2018.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