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347

한국의 성씨 / 진양晉陽 화씨化氏 한국의 성씨 / 진양晉陽 화씨化氏 화씨化氏의 기원 진양晉陽 화씨 시조 화명신化明臣은 중국 명나라 사람으로 조선 중엽 정유재란 때 귀화했다. 중국의 낭야琅琊 사람인 그는 명나라 중엽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으며 본래의 성은 화花씨로 이름은 화광신花光新이었다고 한다. 한국인이 된 지 4백여 년이 지났으나 족세는 아직 많지 않다. 16대를 이어오며 전국에 940여 명이 살고 있다. 관향인 경남 진양을 중심으로 경남 지방과 부산시 일원에 주로 모여 살고 있다. 후손들에게 전해지는 화씨의 세계는 명나라 개국 공신인 화운룡花雲龍에서부터 비롯된다. 대사마大司馬(병조판서) 대장군을 거쳐 벼슬이 영상서사領相書司에까지 올랐으며 그의 아들 화선花善은 상서도성尙書都省 장관인 상서령尙書令을 지냈다고 한다. 문헌에 의하면 명나라 .. 2018. 3. 15.
한국의 성씨 / 제주濟州 고씨高氏 한국의 성씨 / 제주濟州 고씨高氏 우리나라의 고씨 고씨는 두 계통이 있다. 대부분의 고씨는 고을라를 시조로 삼고 있는 ‘제주 고씨’ 계통이고, 그 외에는 고구려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고구려 계통의 ‘횡성 고씨’이다. 두 성씨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성씨다. 제주 고씨에서 분적한 횡성 고씨가 있어 일반적으로 횡성 고씨(고구려 계통)는 한자를 고高 자로, 제주 고씨가 고髙 자를 써서 서로 구별한다. 제주 고씨 계통은 제주가 대종大宗이며 장흥長興, 개성開城, 연안延安, 용담龍潭, 담양潭陽, 의령宜寧, 고봉高峰, 옥구沃溝, 상당上黨(청주), 김화金化, 토산兎山, 회령會寧, 안동安東 등 10여 본이 문헌에 전한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제주 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어 하나로 합본되어 파로 불리고 있다. 예를 들어,.. 2018. 3. 15.
한국의 성씨 / 제주濟州 고씨高氏 한국의 성씨 / 제주濟州 고씨高氏 우리나라의 고씨 고씨는 두 계통이 있다. 대부분의 고씨는 고을라를 시조로 삼고 있는 ‘제주 고씨’ 계통이고, 그 외에는 고구려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고구려 계통의 ‘횡성 고씨’이다. 두 성씨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성씨다. 제주 고씨에서 분적한 횡성 고씨가 있어 일반적으로 횡성 고씨(고구려 계통)는 한자를 고高 자로, 제주 고씨가 고髙 자를 써서 서로 구별한다. 제주 고씨 계통은 제주가 대종大宗이며 장흥長興, 개성開城, 연안延安, 용담龍潭, 담양潭陽, 의령宜寧, 고봉高峰, 옥구沃溝, 상당上黨(청주), 김화金化, 토산兎山, 회령會寧, 안동安東 등 10여 본이 문헌에 전한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제주 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어 하나로 합본되어 파로 불리고 있다. 예를 들어,.. 2018. 3. 15.
한국의 성씨 / 사천四川 목씨睦氏 한국의 성씨 / 사천四川 목씨睦氏 역사는 곧 나라의 혼이다. 나라에 역사가 있듯 각 가문에도 역사가 있으니 곧 성씨姓氏의 역사이다. 지난 2000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姓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목睦 씨’성은 사천 목씨 단본으로 총 2,492가구에 8,18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목씨의 유래 목씨의 기원에 대해서는 세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백제의 귀족 성씨에서 유래됐다는 주장이다. 삼국시대 백제에는 왕족인 부여씨扶餘氏를 비롯하여 목씨木氏, 사씨沙氏, 해씨解氏, 진씨眞氏, 국씨國氏, 연씨燕氏, 묘씨苗氏, 협씨協氏의 8대 성씨가 있었다(「삼국사기」와 「남제서南齊書」기록).하지만 나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한 후 고구려, 백제의 성씨들이 소.. 2018.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