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347

한국의 성씨 / 동씨董氏 한국의 성씨 / 동씨董氏 광천廣川 동씨 동董씨의 기원 동董씨의 연원은 BCE 2250년경 중국 황제黃帝의 6세손 류숙안飂叔安의 아들 부父가 순舜 임금으로부터 동董씨의 성을 하사받은 것이 시초가 된다. 계보는 전한前漢의 대학자 동중서董仲舒로부터 시작된다. 동중서는 한무제漢武帝에게 권하여 유교를 국학으로 삼게 하였다. 그는 유학자로서 유학사상을 체계화했을 뿐 아니라 통치이념의 지도 원리로 기틀을 잡은 거성이었다. 우리나라 동씨는 동중서의 43세손 동승선董承宣이 고려 말기에 명나라의 접위사接慰使로 들어와 조선 개국과 함께 출사한 후 공을 세우고 영천군榮川郡(경북 영주榮州)에 봉록되고 함경도 북청의 이곡泥谷에 살면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동씨는 동승선의 봉군지封君地였던 영천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고 함경북도 명.. 2018. 3. 9.
한국의 성씨 / 온씨溫氏 한국의 성씨 / 온씨溫氏 봉성鳳城(金溝) 온씨 온씨의 기원 온씨 성의 기원은 주나라 성왕成王의 아우로 당唐에 봉해진 숙우叔虞의 12세손 소후昭候가 그의 아우 사師를 온溫에 봉하고 평원平原에 도읍을 정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온씨가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바보장군으로 유명한 온달이 시조이다. 그는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로 어릴 때 살림이 구차하여 구걸로 어머니를 봉양하였고, 남루한 옷차림이어서 ‘바보 온달’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평원왕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강공주와 결혼, 후주의 무제군을 요동 땅에서 깨뜨렸다. 그 뒤 영양왕 때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 북쪽의 아차산성을 되찾고자 출정했으나 전사하고 말았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 2018. 3. 9.
한국의 성씨 / 제갈씨諸葛氏 한국의 성씨 / 제갈씨諸葛氏 남양南陽 제갈씨 시조 제갈규諸葛珪 중국 후한 말기에 태산군승泰山郡丞을 지낸 제갈규諸葛珪가 시조이다. 그는 삼국지三國志에서 촉한蜀漢의 승상丞相으로 유명한 제갈량諸葛亮의 아버지이다. 그의 5세손 제갈충諸葛忠이 위나라는 살 곳이 못 된다 하여 띠배를 타고 동쪽 우리나라에 도래하여 전라도 지리산에 안착 거주하였다. 그때가 신라 13대 미추왕 5년(서기 376년)이었다. 이로써 우리나라에 제갈 성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런데 제갈량의 원래 성씨는 갈葛씨였다. 제갈량 조상은 진나라 말기 진승과 오광의 봉기에 가담한 장군 갈영葛嬰의 후손이라고 한다. 갈영은 전공을 올렸지만 진승에게 살해되었기 때문에 한漢 문제 때 그 공적을 인정받아 자손이 제현후諸縣候에 봉해진다. 제현은 당시 낭야군瑯琊.. 2018. 3. 9.
한국의 성씨 / 길씨吉氏 한국의 성씨 / 길씨吉氏 해평海平(선산善山) 길吉씨 시조 길당吉唐 「해평길씨세보海平吉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당나라에서 동래한 8학사의 한 명인 길당吉唐이라고 한다. 길당은 고려 문종 조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고려때의 정3품 문관) 참지정당문학參知政堂文學(고려 때 중서문하성의 종2품 관직)에 오르고, 해평백海平伯에 봉해져서 해평海平(현 선산의 옛 지명)로 관적貫籍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길당 이후 1백여 년간 계대系代가 실전失傳되어, 고려 때의 성균진사成均進士(소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학한 선비)인 길시우吉時遇를 1세조로 받들며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한편,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에 신라 때의 인물로 길문吉門(4관등 파진찬波珍飡)과 길선吉宣(6관등 아찬阿飡) 등의 이름이 나오지만 지금의.. 2018.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