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코드347 칠성각과 치성광여래 칠성각과 치성광여래 한韓문화타임즈 박지환 기자 / 승인 2017.10.30 02:01 우리나라 절에는 대부분 칠성각이 있다. 전통적인 신교神敎와 불교가 적절히 결합된 것이 바로 칠성각이다. 칠성각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대부분 탱화만을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칠성탱화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부처를 중심으로 북두칠성을 그린 불화다. 운악산 봉선사 북두각에 모셔져 있는 치성광여래 불교가 우리나라에 보급 되기 전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있던 사상은 신교神敎였는데 신교의 북극성과 북두칠성 신앙을 불교에서 받아 들이면서 북극성을 부처님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그 부처가 치성광여래 부처다. 치성광(熾盛光)이란 명칭은 북극성의 빛이 밤하늘의 별 중 가장 밝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서울 봉은사 북극보.. 2018. 3. 7. [한국의 성씨] (3)항렬표와 이름을 대신하는 다양한 이름들 [한국의 성씨] (3)항렬표와 이름을 대신하는 다양한 이름들 항렬은 가문家門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나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글자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한韓문화타임즈 최영철 기자 / 승인 2017.10.08 13:38 ■항렬표 항렬行列이란 같은 혈족사이의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율법이며, 항렬자行列字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항렬은 가문家門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나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한다. 1.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으로 쓰는 경우 : 金ㆍ水ㆍ木ㆍ火ㆍ土(금ㆍ수ㆍ목ㆍ화ㆍ토)의 변을 사용하여 세대순으로 앞뒤 이름자에 번갈아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2. 십간十干순으로 쓰는 경우 .. 2018. 3. 7. [한국의 성씨] (2)본관과 족보 이야기 [한국의 성씨] (2)본관과 족보 이야기 본관은 어느 한 시대 조상의 거주지로 성씨의 고향 / 족보는 성씨 자료가 집결된 가계 자료의 집결체 의미 한韓문화타임즈 최영철 기자 / 승인 2017.09.17 15:11 본관本貫과 족보族譜 이야기 “본관은 어느 한 시대 조상의 거주지로 성씨의 고향” “족보는 성씨 자료가 집결된 가계 자료의 집결체 의미” 우리나라 성씨의 규모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는 277성으로 되어 있고 영조 때에 이의현이 편찬한 도곡총설에는 298성, 1908년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는 496성(숫자가 많은 것은 고문헌에 있는 사성을 다 넣었기 때문이다)으로 되어있다. 1930년 조사에서는 250성으로 기록되어 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다. 1985년 인구 및 주.. 2018. 2. 28. [한국의 성씨] (1)성씨姓氏의 유래와 역사 [한국의 성씨] (1)성씨姓氏의 유래와 역사 한韓문화타임즈 최영철 기자 / 승인 2017.07.10 16:18 "뿌리에 대한 이해는 자존감과 성공의 원천" "성씨 제도는 동이족으로부터 시작해!" 성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 인류는 오랜 시간을 거쳐 오면서 각기 다른 고유의 문화와 역사를 형성해 왔다. 지역과 환경이 다른 만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스펙트럼이 펼쳐지며 문명은 발전과 진화를 거듭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적 차별성과는 별개로 동서양 인류 문화는 공히 ‘성씨姓氏’ 단위의 뿌리 문화를 중심으로 면면히 흘러온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동양권에서의 성씨 문화는 역사적 배경과 계통의 분화 측면에 있어 많은 사건과 이야기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한韓민족의 후손으로서 자신의 근본이자 뿌리인 .. 2018. 2. 28.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