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19 만가지 병을 다스리는 신명과 병이 오는 원인 만가지 병을 다스리는 신명과 병이 오는 원인 만병萬病을 다스리는 신명神明과 병이 오는 원인병란病亂이라는 것도 그것이 일어나는 자연의 이법이 있고, 크고 작은 만병萬病을 다스리는 신명이 있습니다. 예전에 답사를 할 때 들은 이야기인데, 장질부사에 걸려서 오한이 날 때 부채를 가지고 부친다고 했습니다. 그 신명을 춥게 하려고 그런다는 거예요. 정말로 우스운 일인 것 같은데,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도 생리적으로, 병리학적으로 일어나는 게 있지만, 신도神道가 붙어서 그런 현상이 일어난다고 보는 거예요. 또 특정 기간을 정하고 천지에 기도하고 열심히 주문 읽고 정성을 올렸더니, 기도 끝나는 날 몸속에서 병마病魔가 나가는 걸 봤다는 사례도 많이 있어요. 사실은 몸속에 있는 병 기운이 나갈 때 그게 마로 보인 것입니다.. 2020. 10. 10. [증산도 진리공부 제4법 신관-신의 세계] 인간의 참모습과 사후세계 [증산도 진리공부 제4법 신관-신의 세계] 인간의 참모습과 사후세계 ▼인간의 참모습=육체+영체. 육체와 영체는 혼줄로 연결되어 있음. ▼공인된 영혼(심령) 사진 [1-1] 神은 어떤 존재일까? 드라마 하이바이마마 속 49일의 비밀 엄경하 할아버지의 놀라운 천상 신도체험 제4법 신관 1탄 영혼은 정말 있는가?(인간의 참 모습, 혼과 넋) 제4법 2탄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제4법 3탄 천상 신명 세계의 구조 제4법 4탄 인간은 왜 윤회하는가? 제4법 5탄 왜 조상신을 잘 섬겨야 하는가? 제4법 6탄 왜 제사와 천도식을 모셔야 하는가? 제4법 7탄 척신의 보복과 원한 제4법 8탄 신도로써 다스려지는 인간 역사 제4법 9탄 동서 신관의 총 결론 *출처: 증산도 청소년 http://youth.jsd.or.. 2020. 6. 2. 신神의 존재원리, 우주의 본체신과 인격신 ▣ 신의 존재원리 우주의 본체신과 인격신과의 관계 종교에서 말하는 진리의 핵심 자리는 신神과 마음[心]이다.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우주만유를 창조하여 기르는 이 신비의 조화신은 어떠한 원리로 존재 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이 조화신과 어떠한 영적 관계를 맺고 있을까? 선천의 성자들이 나름대로 생명의 창조 세계에 대해 한 소식 전하고 갔으나, 수많은 세월이 흐르도록 누구나 납득할 수 있을 정도로 그 핵심 내용을 제대로 밝힌 이는 없었다. 때문에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이 진리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것이며, 또 하나님은 유일하고 전능하신 분이라고만 알고 있다. 신神은 ‘유일신唯一神인가 혹은 다신多神인가’ 하는 우주 신神의 존재원리 마저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무조건 하나님만 찾아왔을 뿐이다. 증산도는 .. 2018. 6. 11. [증산도 인간관]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증산도 인간관]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인간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죽음에 이르면 한 인간의 모든 것이 그냥 소멸되고 마는가? 아니면 생물학적인 죽음 이면의 또 다른 세계에서 삶을 이어나가는가? 그리고 영혼이 있다면 영혼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며, 그 영혼의 수명은 영원한가? 이제까지의 여러 종교들은 이러한 삶과 죽음의 문제를 원리적으로 명쾌하게 해명해 주지 못하였다. 다른 의문점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본질에 얽힌 수수께끼는 증산 상제님의 생명 말씀을 통해서만 구체적으로 풀리게 된다. 그러면 이제 증산도의 인간관을 통해 생사에 얽힌 영생의 비밀을 풀어보기로 한다. ●도道를 잘 닦는 자는 그 정혼精魂이 굳게 뭉쳐서 죽어서 천상에 올라가 영원히 흩어지지 아니하나 도를 닦지 않는 자는 정혼이 흩어져서 연기와.. 2018. 6. 7. 증산도 신(신명)의 세계 체험담 증산도 신(신명)의 세계 체험담 장인의 영신과 교감한 사위의 체험담 증산도 신명체험 이야기 *영상출처: 상생방송STB / https://youtu.be/STBunsaweQ0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2018. 6. 4. 영화 '신과함께-죄와벌', 사람이 죽으면 정말로 재판을 받는가? 영화 '신과함께-죄와벌', 사람이 죽으면 정말로 재판을 받는가? 영화 을 보셨나요? 제작비 200억에 관객수 1000만 돌파?! 어린 학생도, 연세 드신 할머니도 궁금한가 봅니다. 죽은 다음 세상이 말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닦은 공덕과 지은 죄업에 따라 심판을 받을까요? 아니면 그건 상상이 빚어낸 환타지일 뿐일까요? 당신은 죽으면 어떻게 될까요? 죄를 지어도 남이 모르면 그만인가? 이나 에서 보셨죠? 죄 지으면 벌 받는다! 인간으로 오신 하나님 아버지인 증산 상제님은 어떤 말씀을 하셨을까요? 『증산도 도전』 에서 에 대한 말씀을 살펴보겠습니다. 대개 죄를 지을 때는 나쁜 짓을 몰래 저지릅니다. 인터넷에서 악성 댓글을 쓰는 자들도 다 숨어서 익명으로 글을 쓰지요. 그런데 그런 짓을 하면 그 죄가 끝까지 숨.. 2017. 12. 29.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1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1 纂圖指要 下 [1] ■ 채원정蔡元定이 가로되 - 한번 동動하고 한번 정靜하는 사이를 역易에서 이른바 태극太極이라고 한다. 동정動靜은 양의兩儀이고 음양강유陰陽剛柔는 역易에서 말하는 사상四象이다. 태양太陽, 태음太陰, 소양少陽, 소음少陰, 소강少剛, 소유少柔, 태강太剛, 태유太柔는 역易에서 말하는 팔괘八卦이다. ■ 채원정蔡元定이 가로되 - 동動하는 것은 하늘[天]이고 하늘에도 음양陰陽이 있다[양陽은 동動의 시작이고, 음陰은 동動의 최고조이다]. 음양陰陽 속에 또 각각 음양陰陽이 있다. 그러므로 태양太陽, 태음太陰, 소양少陽, 소음少陰이 있다. 태양太陽은 일日이 되고 태음太陰은 월月이 되며, 소양少陽은 성星이 되고 소음少陰은 신辰이 된다. 이것은 하늘의 사상四象이다. 일日은 서暑가 .. 2017. 12. 17.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하 [2]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하 [2] 觀物外篇 下 [2] ■ 신神은 사람 몸의 주인이다. 자려고 하면 지라에 있고 잘 때에는 신장에 있으며, 깨려고 할 때는 간肝에 있고 깨어 있을 때는 심장에 있다. ■ 사물로 사물을 보는 것은 성性이고 나로 사물을 보는 것은 정情이다. 성性은 공변되고 밝으며, 정情은 편벽되고 어둡다. ■ 양陽은 열고 나가는 것을 맡아보고, 음陰은 닫고 들어오는 것을 맡아본다. ■ 해가 물 속에 있으면 살고 떠나면 죽는데 교交와 불교不交를 이르는 것이다. ■ 음陰은 양陽과 대립하기에 2 이다. 그러나 양陽이 오면 살고 양陽이 떠나가면 죽는다. 천지 만물의 생사生死는 음양陰陽이 맡아보며 1 로 돌아간다. ■ 신神은 구역이 없으며, 성性은 질質이 있다. ■ 성性에서 발하면 정情에 나타나고 정情에서..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하 [8] 황극경세서 관물외편 하 [8] 觀物外篇 下 [8] ■ 원元 · 형亨 · 이利 · 정貞은 늘 변하여 일정하지 않은데 천도天道의 변變이다. 길吉 · 흉凶 · 회悔 · 린吝은 늘 변하여 바뀌며 고정되어 있지 않은데 인도人道의 응應이다. ■ 귀신은 형체가 없으나 용用을 가지고 있어서 정상情狀을 깨달아 알 수 있으며, 용用에 의하여 볼 수 있다. 사람의 귀 · 눈 · 코 · 입 · 손 · 발, 풀과 나무의 가지 · 잎 · 꽃 · 열매 · 빛깔은 모두 귀신이 하는 바이다. 선한 사람에게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재앙을 내리는 것을 맡아보는 이는 누구인가? 총명함과 정직함을 가지고 있는 이느 누구인가? 빠르지 않지만 멀리 가게 하고 가지 않지만 이르게 하는 것을 맡은 이는 누구인가? 모두 귀신의 정상情狀이다. ■ 역.. 2017. 12. 15.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4]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4] 漁樵問對 [4] *편의상 대화부분에서 고기잡이는 `漁` , 나무꾼은 `樵`로 표현했음. ■ 나무꾼이 고기잡이에게 물었다. 樵 : 당신은 어떤 방법으로 물고기를 잡습니까? 漁 : 저는 여섯 가지 연장으로 물고기를 잡습니다. 樵 : 여섯 가지 연장을 갖추는 것은 하늘로 말미암은 것입니까? 漁 : 여섯 가지 연장을 갖추어 물고기를 잡는 것은 사람이지만 여섯 가지 연장을 갖추어 물고기를 잡도록 하는 것은 사람이 아닙니다. 나무꾼이 그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그 방법을 물었다. 漁 : 여섯 가지 연장이란 낚싯대 · 낚싯줄 · 낚시찌 · 낚싯봉(봉돌) · 낚싯바늘 · 낚싯밥(미끼)입니다. 이 가운데 한 가지라도 빠지면 물고기를 잡지 못합니다. 그러나 여섯 가지 연장을 빠짐없이 갖추고도 물고.. 2017. 12. 1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