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26 국회 보천교 재발견 학술대회 행사 후기 국회 보천교(독립운동의 메카, 독립운동의 중심지) 재발견 학술대회 행사 후기 [행사 후기] 민족정신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 보천교 김만섭 기자/ 승인 2017.11.16 17:48 2017년 11월 15일, 자칫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는 듯 했던 보천교가 '일제 강점기 민족운동의 산실 보천교의 재발견' 이라는 주제의 학술대회를 통해 부활의 시간을 맞이했다. 조선총독부 공식 보고 문서와 미 총영사인 밀러의 본국 보고서 상에 신도 수 추산 600만으로 알려졌던 보천교는 그 동안의 오명의 늪에서 다시 깨어나 “민족운동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로 우리의 역사 속에 다시 들어왔다.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유성엽의원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이 주최, 상생문화연구소가 주관하고.. 2018. 1. 29. 동학 보천교 증산도로 이어지는 후천개벽의 맥 동학 보천교 증산도로 이어지는 후천개벽의 맥 東學 普天敎 甑山道로 이어지는 後天開闢의 脈 Ⅰ. 서론 Ⅱ. 동학의 참된 가르침 Ⅲ. 보천교주 차경석과 보천교 Ⅳ.동학과 보천교의 맥을 이은 증산도 Ⅴ. 결론 Ⅰ. 서론 최수운 대신사께서는 평소에 항상 도인들에게 “개벽 이후로 세상에 혹 상제를 친히 모시고 문답하고 가르침을 받은 사람이 있었느냐”고 하셨다. 1860년 4월 5일 대신사는 천상문답을 통해 우주를 통치하고 주재하시는 상제님[天主, 한울님]과 직접 대화를 하면서 천명을 받았다. 이러한 내용은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곳곳에 나타난다. 특히 『도원기서』에 있는 대화의 내용 속에는 “너는 나의 아들이다. 나를 아버지라고 부르도록 해라.”, 수운 선생께서 “아버지”라고 부르자 상제님께서 “너의 정성이.. 2017. 12. 29. [증산도] 동학의 출현과 동학혁명 그리고 증산 상제님 [증산도] 동학의 출현배경과 과정 그리고 동학혁명 증산 상제님 어떤 이는 강증산 상제님께서 동학에 가담하셨다고 하면서, 상제님과 동학에 대해 잘못 알고 전달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증산 상제님께서는 "천상문답사건"을 통해서 최수운 선생에게 동학을 선포하게 하셨습니다. 즉 상제님으로부터 이 세상에 동학이 탄생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상제님 재세시에 전봉준 장군을 직접 만나셔서 장차 동학의 운명에 대하여 말씀해 주셨습니다. 아래 증산도의 도전 말씀을 읽어 보시면 자세한 내용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먼저 동학이 이 세상에 출현하게 되는 배경과 과정에 대한 증산도 도전 말씀입니다. 상제님의 천명을 받은 최수운 대신사 1 신교(神敎)는 본래 뭇 종교의 뿌리로 동방 한민족의 유구한 역사 속에 그 도맥(道.. 2017. 12. 5. [보천교 학술대회 후기]-민족정신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 보천교 [보천교 학술대회 후기]-민족정신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 보천교 [행사 후기] 민족정신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 보천교 김만섭 기자 / 승인 2017.11.16. 17:48 2017년 11월 15일, 자칫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는 듯 했던 보천교가 '일제 강점기 민족운동의 산실 보천교의 재발견' 이라는 주제의 학술대회를 통해 부활의 시간을 맞이했다. 조선총독부 공식 보고 문서와 미 총영사인 밀러의 본국 보고서 상에 신도 수 추산 600만으로 알려졌던 보천교는 그 동안의 오명의 늪에서 다시 깨어나 “민족운동의 산실, 독립운동의 메카”로 우리의 역사 속에 다시 들어왔다.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유성엽의원실(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이 주최, 상생문화연구소가 주관하고 STB.. 2017. 11. 20.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