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천주22 동서 주문문화의 완성처 증산도 그리고 시천주와 시천주 주문 동서 주문문화의 완성처 증산도 그리고 시천주와 시천주 주문 동서 주문문화의 완성은 근대 문명개벽에서, 즉 동학의 꿈을 성취하는 참동학 증산도에서 이뤄졌는데요. 강증산 상제님께서 이 세상에 오시기 전에, 바로 경주 사람 최수운 대신사에게 도통을 내려 주시는데, 그 유명한 사건 우리가 잘 알고 있어요. 그때, “세상 사람들이 나를 상제라 이르거늘, 너는 어찌 상제를 모르느냐!” -동경대전- 또 동학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보면, 2대 교주 해월 (최시형) 최수운 대신사의 조카였는데 이 양반이 뭐라고 기록을 했냐. 상제님이 “너는 내 아들이니 나를 아버지라고 불러라.” -최선생문집 도원기서-이건 참 놀라운 말씀인데, “나를 아버지라고 불러라.” 그래서 그때 이제 도통을 받을 때 “이 주문을 받아서 천하창생을 가.. 2020. 12. 12. 동학의 핵심 '시천주'와 '시천주 주문'의 뜻 완전 정리 동학의 핵심 '시천주'와 '시천주 주문'의 뜻 완전 정리 18분으로 보는 동학 시천주 주문의 뜻 완전정리, 본주문과 강령주문 18분으로 보는 동학 시천주 주문의 뜻 완전정리, 본주문과 강령주문 “侍天主造化定 永世不忘萬事知 至氣今至願爲大降” “시천주조화정 영세불망만사지 지기금지원위대강” “시천주 주문에 동서 종교 구도자들이 추구해왔던 진리의 주제, 깨달음의 궁극의 도통주제가 다 들어있다.”-『수운과 화이트헤드』김상일- 천상의 아버지가 동방의 성경신이 지극한 한 구도자(최수운 대신사)에게 “너에게 무궁무궁한 도를 내리겠노라. 그 도를 표현한 글을 지어서 그 도의 법을 바르게 하여 내 덕을 펴면 너를 영원히 장생케 하리라.”(동경대전 논학문) 그 도의 법을 펴라는 것은 아버지의 도를 펴라는 거야. 이제 아들의.. 2020. 6. 14. 동학의 핵심가르침, 시천주 동학의 핵심 가르침, 시천주 [동학경전으로 보는 녹두꽃 #1] 동학군들이 읽은 시천주의 뜻은? *영상출처: https://youtu.be/C4BXXNi_2F0 18분으로 보는 동학 시천주 주문의 뜻 완전정리, 본주문과 강령주문 *영상출처: https://youtu.be/Qgu3OT13Xrk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2019. 7. 1. 녹두꽃, 동학의 수행법 시천주 주문 수행 동학의 수행법 시천주 주문 수행 동학 창도에는 수운 최제우 선생의 득도체험,신비체험이 있었다고 말씀드렸습니다.일명 천상문답天上問答 사건, 천주님과의 문답 사건인데요 그 문답을 포덕문에서 이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不意四月 心寒身戰 疾不得執症 言不得難狀之際有何仙語 忽入耳中 驚起探問則曰勿懼勿恐 世人 謂我上帝 汝不知上帝耶 두려워말고 겁내지마라 세상사람들이 나를 상제라 이르나니 너는 어찌 상제를 모르느냐 問其所然 曰余亦無功故 生汝世間 敎人此法 勿疑勿疑曰然則 西道以敎人乎 曰不然 吾有靈符其名 仙藥 其形 太極 又形 弓弓 受我此符濟人疾病 受我呪文 敎人爲我則 汝亦長生 布德天下矣 그때 ‘수아주문受我呪文하야 교인위아敎人爲我하라’, 나의 주문을 받아서 나를 대신해서 천하창생을 가르치라 ‘나의 주문을 받아라. 이 주문으로 .. 2019. 7. 1. 증산도 개벽문화 북콘서트 대전편 1 증산도 개벽문화 북콘서트 대전편 1 가을철 새 세상, 지상의 우주 낙원이 열린다-모든 인간이 불멸의 종자로 거듭나는 때(1) 道紀 146. 3. 27(일), 태전 개벽 문화 콘서트, 증산도 교육문화 [말씀요약] 결론은 하늘과 땅과 인간이 함께 새로 태어나는 개벽입니다. 동북아 역사 대전쟁의 중심 주제가 개벽이며, 새로운 수행문화가 선언된 근대사의 주제, 그것이 바로 개벽입니다. 개벽이란 하늘과 땅과 인간이 완전히 새롭게 태어나는, 대자연의 법칙으로 결정지어진 새 역사의 문이 열리는 사태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우리는 지금 어디에 와 있는가?’를 다룬 성찰의 시간, ‘우주 일 년과 천지개벽 공사의 이야기’를 전하는 깨침의 시간, ‘태을주로 여는 가을 우주의 수행문화, 도통문화, 영성문.. 2018. 7. 18. 제3의 새 진리(초종교) 출현의 불가피성 증산도는 초종교이며 제3의 새 진리!!! ▣제3의 새 진리(초종교) 출현의 불가피성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마음이나 잘 지키고 살아가겠다며 종교를 멀리하는 경향이 있다. 제2의 종교가 진리적 한계에 부딪혀 인류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제 제2의 종교는 제3의 초종교에 의해 개벽되고 통일되어야 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와 있다. 천지의 시공 구조가 변화하면 인간 정신의 인식 차원도 다르게 변화한다. 그리하여 우주의 시간대가 가을의 대개벽기, 성숙기에 이르러 선천 문화의 유∙불∙선∙기독교와는 차원이 다른 새 진리가 출현하는 것은 자연의 이법이기도 하다. 소우주인 인간은 우주 대자연 시공의 영향권 안에서 삶을 영위해 나가므로, 인류 문명의 대국적인 진리의 틀도 우주의 선천 시대(봄, 여.. 2018. 6. 7. [궁금해요 증산도] 5회 상제님 강세를 준비한 성자들 [궁금해요 증산도] 5회 상제님 강세를 준비한 성자들 *영상출처: 상생방송STB / https://youtu.be/xD-ZLSsn5zc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2018. 6. 4. 조선 땅에 강세하신 상제님 ▣조선 땅에 강세하신 상제님 증산도의 도조道祖 강증산姜甑山 상제님은 신미辛未(1871)년 음력 9월 19일, 전라도 고부군 우덕면 객망리古阜郡 優德面 客望里, 곧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신월리井邑市 德川面 新月里에서 탄강하셨다. 부친은 존휘尊諱가 문文 자 회會 자요, 자字가 흥興 자 주周 자이며, 모친은 성이 권權씨요 존휘는 양良자 덕德 자였다. ●경오庚午(道紀前 1870)년 9월에 성모께서 근친覲親하러 홀로 서산리에 가 계실 때 … 하루는 밭에 나가셨다가 오한을 느껴 집으로 돌아와 소나기가 내린 뒤 깊이 잠드셨는데 꿈에 홀연히 검은 구름이 가득한 가운데 뇌성이 진동하고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며 큰 불덩이가 성모의 앞 으로 내려오거늘 유심히 보니 마치 호박琥珀과 같은 것이 황금색의 신비 한 광채를.. 2018. 5. 18. 전봉준 장군 동상, 종로네거리에 우뚝 서다 전봉준 장군 동상, 종로네거리에 우뚝 서다 전봉준 장군은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로부터 과도한 세금을 징수하고 재산을 갈취하는 데 항거해 1894년 3월 농민들을 이끌고 봉기했다. 이후 농민 자치기구인 집강소(執綱所)를 설치해 개혁 활동을 펼치던 중 일본이 침략하자 이를 몰아내기 위해 같은 해 9월 2차 봉기해 항일무장투쟁을 벌였다. 우금치에서 일본군에게 패배한 전봉준 장군은 서울로 압송돼 전옥서(典獄署)에 수감됐는데, 이곳이 바로 종로 영풍문고 자리다. 동학군의 패망(증산도 도전 1편 62장) 1그 뒤에 동학군은 11월 25일 원평 접전과 27일 태인 접전에서 연패하여 전군이 모두 흩어지니 2 이로부터 동학군이 전국에서 닥치는 대로 피살, 포살되니라. 3 증산께서 조선의 민중들에게 큰 시련과 좌절을 안.. 2018. 4. 24. 한민족 문화의 원형, 신교神敎 한민족 문화의 원형, 신교神敎 태곳적 한민족의 문화원형 신교 신교神敎는 상고 이래 한민족을 이끌어온 삶의 이념이다. 그 핵심은 모두가 참마음으로 하느님을 섬기며 무병장생과 천지조화의 선仙으로 사는 세상을 이룩하라는 것이다. 이 책은 먼 옛적 동방의 이 땅에 하느님신앙 및 선仙의 일체성을 중핵으로 하는 신교가 어떻게 하늘의 섭리에 따라 생겨났으며, 그것이 어떻게 수운 최제우에게 이어지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것이 어떻게 결실을 맺게 되는지 드러내고자 한다. 이 가운데 후천개벽의 소식은 무엇이며 그것이 신교와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도 밝혀나간다. (이하 원문발췌) 신神의 뜻으로 살다 신교 미리보기 신교神敎는 신의 뜻과 가르침으로써 세상을 다스린다, 신을 인간생활의 중심으로 삼는다는 폭넓은 의미를.. 2018. 4. 1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