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월성신9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5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5 [券 二]纂圖指要 下 [5] ■ 소백온邵伯溫이 가로되 - 태양太陽의 수數도 10, 소양少陽의 수數도 10, 태강太剛의 수數도 10, 소강少剛의 수數도 10 이다. 이들을 합하면 40 이다. 태음太陰의 수數도 12, 소음少陰의 수數도 12, 태유太柔의 수數도 12, 소유少柔의 수數도 12 이다. 이들을 합하면 48 이다. 4 에 40 을 곱하면 160 이 되고 4 에 48 을 곱하면 192 가 된다. 160 에 192 를 곱하면 30,720 이 되는 바 이것이 동식물動植物 전수全數이다. 160 에서 태음太陰, 소음少陰, 태유太柔, 소유少柔의 체수體數 48 을 빼면 112 가 된다. 192 에서 태양太陽, 소양少陽, 태강太剛, 소강少剛의 체수體數 40 을 빼면 152 가 된다. 이.. 2017. 12. 17.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6 황극경세서 찬도지요 하 6 纂圖指要 下 [6] ■ 소백온邵伯溫이 선친先親의 뜻을 이어받아 이르길 - 지극히 큰 것[至大]을 황皇이라 하고 지극히 중도[至中]인 것을 극極이라 하며, 지극히 바른 것[至正]을 경經이라 하고 지극한 변화[至變]를 세世라고 한다. 지극히 크고 중도이며 바르고 이에 응하여 변하며 치우침이 없는 것을 도道라고 한다. 도道는 도道를 밝히는 것이며, 도道가 사물을 밝히는 것이 아니고 도道를 밝게 해야 도道가 확연히 보이는 것이다. 만물이란 것은 `도道`의 형체이다. 도道에서 생겨나고 도道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道가 변하는 것이 물체이고 물체가 변하는 것이 도道이다. 이로써 본다면 도道 역시 물체이고 물체도 또한 도道임을 알게 된다. 그런데 누가 그것을 분별하는 데 능하리요. 그러므.. 2017. 12. 17.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0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0 觀物內篇 十 ■ 일日은 하늘의 원元으로 헤아리고 월月은 하늘의 회會로 헤아리며, 성星은 하늘의 운運으로 헤아리고 신辰은 하늘의 세世로 헤아린다. 일日로 일日을 헤아리면 원元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일日로 월月을 헤아리면 원元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일日로 성星을 헤아리면 원元의 운運을 알 수 있고 일日로 신辰을 헤아리면 원元의 세世를 알 수 있다. 월月로 일日을 헤아리면 회會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월月로 월月을 헤아리면 회會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월月로 성星을 헤아리면 회會의 운運을 알 수 있고 월月로 신辰을 헤아리면 회會의 세世를 알 수 있다. 성星으로 일日을 헤아리면 운運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성星으로 월月을 헤아리면 운運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성星으로 성星을 헤아리면..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1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1 觀物內篇 十一 ■ 태양太陽의 체수體數는 10 이고 태음太陰의 체수體數는 12 이며, 소양少陽의 체수體數는 10 이고 소음少陰의 체수體數는 12 이다. 소강少剛의 체수體數는 10 이고 소유少柔의 체수體數는 12이며, 태강太剛의 체수體數는 10 이고 태유太柔의 체수體數는 12 이다. 태양 · 소양 · 태강 · 소강의 체수體數는 나아가고 태음 · 소음 · 태유 · 소유의 체수體數는 물러나는 것을 태양 · 소양 · 태강 · 소강의 용수用數라고 한다. 태음 · 소음 · 태유 · 소유의 체수體數는 나아가고 태양 · 소양 · 태강 · 소강의 체수體數는 물러나는 것을 태음 · 소음 · 태유 · 소유의 용수用數라고 한다. 태양 · 소양 · 태강 · 소강의 체수體數는 160 이고 태음 · 소음 ·.. 2017.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