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극경세서55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7]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7] 漁樵問對 [7] *편의상 대화부분에서 고기잡이는 `漁` , 나무꾼은 `樵`로 표현했음. ■ 고기잡이가 나무꾼에게 물었다. 漁 : 소인小人이 없어질 수 있을까요? 樵 : 그렇지 않을 겁니다. 군자君子는 양陽의 정기正氣를 받고 태어나지만 소인小人은 음陰의 사기邪氣를 받고 태어납니다. 음陰이 없으면 양陽도 이루어지지 못합니다. 소인小人이 없으면 군자君子가 이루지 못합니다. 오직 그 사邪에 성함과 쇠퇴함이 있습니다. 양陽이 6 분分이면 음陰이 4 분分이고, 음陰이 6 분分이면 양陽이 4 분分입니다. 음陰과 양陽은 서로 반씩을 차지하는데 곧 각각 5 분分씩을 차지합니다. 이로써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의 때에 성함과 쇠퇴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잘 다스려진 태평한 세상에는 군자가 6 분.. 2017. 12. 14.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를 마치며.. 를 마치며.. : 저자 소강절邵康節의 아들 소백온邵伯溫의 말을 빌리자면 전해 내려오는 황극경세서는 무릇 12 권이다. 권 1 ~ 2 는 원회운세元會運世의 수數를 통하여 천지天地의 수數를 논하고, 권 3 ~ 4 는 회會로 운運을 권 5 ~ 6 은 운運으로 세世를 헤아려 천하의 이합치란異合治亂의 자취와 연표를 기술하여 천시天時와 인사人事가 서로 징험되는 바를 밝혔다. 권 7 ~ 10 은 율려성음律呂聲音의 수數를 통하여 만물의 수數를 밝혔으며, 권 11 ~ 12 는 황극경세서가 책이 되는바를 논하였다. 블로그에 게재된 황극경세서의 원본은 `性理大全書[胡廣 等奉勅纂, 刊寫者未詳, 1415]`을 인용하였으며, 권 1 ~ 2 는 각각 찬도지요 상 · 하[讚圖指要 上 · 下], 권 3 ~ 4 는 관물내편[觀物內篇],.. 2017. 12. 14.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소강절 선생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와 소강절 선생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란 글자가 의미하는 바는 황극인 임금이 세상을 경영하는 글이란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소강절의 역철학 중 가장 절정은 우주 운행의 법칙인 ‘원회운세’로서, 천지개벽의 틀이요, 천지 일원(一元)수인 129,600년의 이수(理數)를 밝힌 것이다. 천지운행의 원리이자 우주 1년의 순환원리, 원회운세(元會運世). 소강절은 주역에 간단히 언급되어 있는 천지만물의 생성원리를 수(數)를 통해 소상히 밝히고 있다. 즉 자연계의 생성과 순환의 원리를 꿰뚫는데 이는 자연과학과 하등 배치되지 않는다. 이는 동양철학의 장점이며 핵심이며 정수이다. 곧 하나로써 전체를 파악하고, 전체를 하나로 꿰뚫는 것이다. 소강절은 삼라만상을 숫자로 아우른다. 음양은 사상으로, 사상은 .. 2017. 12. 14.
고전 속에 나오는 원회운세(우주1년) 고전 속에 나오는 원회운세(우주1년 129,600년) 동의보감에 나오는 우주일년-129,600년 옆 사진은 동의보감의 한 페이지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 오른쪽을 보시면 '1원은 12회이고, 1회는 30운이다.'라는 말이 크게 쓰여 있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1원은 12회, 1회는 30운. 1운은 12세" (우주 1년의 시간단위) "1년은 12월 1월은 30일 1일은 12시" (지구 1년의 시간단위) 라고 설명되어 져 있습니다. 그리고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 왼쪽끝에서 두번째 줄에는 '1원(우주1년)은 12만 9600년이다.'라는 말이 쓰여져 있습니다.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소자(邵子)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에 1원(元)은 12회(會)를 통괄하고 1회는 30운(運.. 2017.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