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가모니11

불교의 결론, 미륵불 강세와 왜곡된 미륵불 사상 불교의 결론, 미륵불 강세와 왜곡된 미륵불 사상 불교의 결론 총정리, 미륵부처님께 귀의하라, 그 분은 동방땅에 오신다 *영상출처: 개벽문화북콘서트STB상생방송 / https://youtu.be/jEJ2nw5NWDE 불교의 결론과 왜곡된 미륵불 사상 불교의 결론 총정리, 미륵부처님께 귀의하라, 그 분은 동방 땅에 오신다. 불교를 들어가서 보면, 팔만대장경의 가르침의 궁극, 결론이 뭐냐. 새로운 부처님이 오신다. 그 분을 서있는 부처님으로 모시고 있어요. 미래의 부처님, 희망과 구원의 부처님이다. 또 이 미륵부처님이 마침내 동방 땅에 인간으로 오신다. 그 다음에 그 분의 용화낙원, 궁극의 새로운 미래문명 세계가 열린다. 그래 이 미륵님에 대한 구도의 모델이 선재동자인데, 이 선재동자가 선禪지식(마음을 닦는).. 2018. 7. 11.
불교의 결론과 왜곡된 미륵불 사상 불교의 결론과 왜곡된 미륵불 사상 불교의 결론 총정리, 미륵부처님께 귀의하라, 그 분은 동방땅에 오신다 *영상출처: STB상생방송 개벽문화북콘서트 부산편 불교의 결론과 왜곡된 미륵불 사상 우선 우리가 불교를 들어가서 보면, 불교는 팔만대장경의 가르침의 궁극 결론이 무엇이냐. 새로운 부처님이 오신다. 서있는 부처님이 오신다. 희망과 구원의 부처님이 오신다. 미륵부처님이 마침내 동방 땅에 인간으로 오신다. 그리고 그분의 용화낙원세계가 열린다. 궁극의 새로운 미래문명 세계가 열린다. 미륵님을 향한 구도의 모델이 선재동자인데 화엄경을 보면, 이 선재동자가 그 선지식 마음을 닦는 뛰어난 스승들을 찾다가 마지막에 미륵님을 만나는 거야. 불경에는 미륵보살로 나오는데 나는 그걸 불경한 표현으로 보거든. 대방광불화엄경변.. 2017. 12. 26.
석가모니 부처님, 불기, 예언, 미륵불 출세 석가모니 부처님, 불기, 예언, 미륵불 출세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샤캬무니(산스크리트어)"를 한자漢字로 음역한 것이다. "샤캬(샤키야,Sākya)"는 ​석가불이 속했던 민족의 명칭이고 "무니(muni)"는 성인聖人이라는 의미다. ​즉, 석가모니는 "석가족(釋迦族) 또는 샤캬(샤키야,Sākya)족 출신 성자聖者(무니,muni)"라는 뜻이다​. 석가모니의 본명은 "싯다르타 고타마"이며 고대 인도(현재 네팔)사람으로, 성(姓)은 고타마(Gautama)이고 이름은 싯다르타(Siddhārtha)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 지금의 네팔 남부와 인도국경부근 히말라야산 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迦毘羅城)을 중심으로 샤키야족[釋迦族]의 작은 나라가 있었는데, 그 나라의 왕 슈도다나(Śuddhodāna:淨.. 2017. 12. 20.
삼존불三尊佛의 뜻과 미륵삼존불 삼존불三尊佛의 뜻과 미륵삼존불 1) 삼존불三尊佛 삼존불이란 불전에 본존과 좌우 협시를 모시는 형식 또는 그 불상 을 의미하며, 삼신불ㆍ삼세불이라고도 한다. 대개는 법신ㆍ보신ㆍ화신의 세 부처를 말하는데, 현세불인 석가여래ㆍ약사여래ㆍ아미타여래를 모시기도 하고, 과거ㆍ현재ㆍ미래불을 함께 모셔 삼존불이라고도 한다. 현세의 3불을 모시는 경우에는 삼세불이라고 한다. 아미타여래와 그 협시인 관음보살ㆍ대세지보살, 약사여래와 그 협시인 일광보살ㆍ월광보살, 석가여래와 그 협시인 문수보살ㆍ보현보살이 이에 해당하며,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고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협시로 한 경우는 삼존상이라고 한다. 법신은 법으로서의 부처님을 뜻하는 말로, 구체적으로는 비로자나불로 나타난다. 보신은 수행을 통해 무궁무진한 공덕을 갖춘 부처님.. 2017. 12. 19.
고전 속에 나오는 원회운세(우주1년) 고전 속에 나오는 원회운세(우주1년 129,600년) 동의보감에 나오는 우주일년-129,600년 옆 사진은 동의보감의 한 페이지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 오른쪽을 보시면 '1원은 12회이고, 1회는 30운이다.'라는 말이 크게 쓰여 있고, 그 밑에 작은 글씨로 "1원은 12회, 1회는 30운. 1운은 12세" (우주 1년의 시간단위) "1년은 12월 1월은 30일 1일은 12시" (지구 1년의 시간단위) 라고 설명되어 져 있습니다. 그리고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 왼쪽끝에서 두번째 줄에는 '1원(우주1년)은 12만 9600년이다.'라는 말이 쓰여져 있습니다. 1원 12회 30운에 대하여[論一元十二會三十運] 소자(邵子)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에 1원(元)은 12회(會)를 통괄하고 1회는 30운(運.. 2017. 12. 12.
윤회란 무엇일까...? 윤회란 무엇일까...? 자기 영적 성숙의 긴 여행 인간의 죽음이란 곧 신명으로의 탄생이며, 신명의 죽음은 곧 인간으로의 탄생을 의미합니다. 『유체이탈』의 저자 실반 멀두운은 “인간의 탯줄이 끊어지면 탄생이며 혼줄이 단절되면 죽음이다”고 하였습니다. 이승으로 탄생하는 과정과 저승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동일함을 밝힌 재미난 표현입니다. 석가모니는 “자신의 과거를 알고 싶으면 자신의 현재의 삶을 보라. 자신의 미래를 알고 싶으면 자신의 현재를 보라”고 하였습니다. 전생과 이생과 내생으로 이어지는 긴밀한 관계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입니다.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증산도 道典 2:109:7∼9) 영혼은 불멸하는가 죽음에는 두 .. 2017. 11. 3.
신교의 열매, 인류의 희망 증산도 신교의 열매, 인류의 희망 증산도 한민족혼 증산도甑山道 "그대가 어떤 종교를 신앙하고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든지, 반드시 자기 존재의 근본인 조상의 뿌리와 민족의 시원, 그리고 그들이 어떤 정신세계에서 살다 갔는가 하는 민족의 정통성을 명백하게 알아야만 한다. 그것이 자기 존재의 본질을 알고, 자신을 완성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선결해야 할 요건이다. 역사의 근본을 알면 아무리 작은 개인이라도자신이 '역사적인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제 한민족의 역사개벽을 앞두고 인류역사의 정의를 총체적으로 바로잡아 그 원형을 되찾고 민족의 국통을 바로 세워야 한다."(안경전 지음, 『개벽 실제상황』중에서) *영상출처: Jeungsando 증산도 https://youtu.be/WM-iYzlRO.. 2017. 9. 7.
후천 조화선경 낙원세계를 건설하는 1만2천 도통군자 후천 조화선경 낙원세계를 건설하는 1만2천 도통군자 후천선경 세계를 건설하는 1만 2천 도통군자 증산도 존재의 이유는 단 하나 이다. 곧 닥쳐올 가을개벽기에 진멸의 위기에 빠진 인류를 건져내고, 더 나아가 후천 5만년 지상조화선경 세계를 열어 나갈 수 있는 하나님의 진정한 사역자, 일꾼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개벽하고 난후 그들은 후천 세상을 이끌어 가는 주역이 된다. 후천개벽기에 증산상제님의 천명을 받고 인류를 구원하기위해 출세하는 1만 2천명의 도통군자를 배출할 영기를 품고있는 금강산 1만 2천봉우리 공자는 3천 명 제자 중에 72인을 통예(通藝)케 하고, 석가모니는 500인에게 도를 통하게 하였으나 나는 비록 차별은 있을지라도 일만 이천 명을 통케 하여 모든 창생에게 혜택을 열어 주리라. 너희들이 .. 2017. 8. 30.
[증산도 도전 듣기 VOD] 제1편 증산 상제님의 탄강(誕降) 편 [증산도 도전 듣기 VOD] 제1편 증산 상제님의 탄강(誕降) 편 증산도 『도전道典』 제1편은 ‘증산 상제님의 탄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상제님께서 동방의 한반도에 강세하시게 된 과정과 배경이 소상히 소개되어 있으며, 소년기를 거쳐 청년으로 성장하시는 과정에는, 인간의 몸으로 만백성의 고통을 함께하고 병든 세상을 체험하는 하느님의 사랑이 듬뿍 담겨 있습니다. 증산도 『도전道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증산도『도전道典』의 전체 틀을 머릿속에 그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산 상제님의 탄강 편인 제1편을 보면, 상제님께서 인간으로 오셔서 소년기와 청년기를 보내시고, 27세 되시던 해에 고향을 떠나 3년 동안 천하를 유력하십니다. 인간의 모든 고통을 친히 체험하시고 만상을 둘러보신 것입니다. [소리.. 2017. 8. 29.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3>불교에서 바라보는 최고신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불교에서 바라보는 최고신 과연 불교 교리에 하나님이 존재 하는가? "과연 불교의 교리에는 하나님이 존재하는가?" 대답은 "그렇다!"이다. 분명히 하나님이라는 상징적 존재가 있다. 기독교에서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중재자인 예수가 하나님보다 더 강조된 면이 있듯이, 불교 역시 마찬가지로 부처라는 존재가 너무 전면에 드러나 있기 때문에 하나님이라는 개념이 없는 듯이 되어버린 것이다. 때문에 이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불교계의 일각에서는 부처가 하나님보다 더 높다느니, 또는 부처만이 최고라느니 하는 치졸한 소리를 하는 실정이다. ▶불교의 최고 본체신, 마하비로자나불 ◀마하비로자나불 불교에서 하나님으로 볼 수 있는 개념은 밀교에서 일컫는 '마하비로자나불' 혹은 '대일여래'라는 존재이다. 여.. 2017.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