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용7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1]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1] 漁樵問對 [1] *편의상 대화부분에서 고기잡이는 `漁` , 나무꾼은 `樵`로 표현했음. ■ 고기잡이가 이수伊水가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있었다. 나무꾼이 지나가다 짊어진 짐을 벗어 놓고 너럭바위 위에 앉아 쉬면서 고기잡이에게 물었다. 樵 : 고기는 좀 낚았습니까? 漁 : 예!" 樵 : 낚싯바늘에 미끼가 없어도 됩니까? 漁 : 안 됩니다. 낚이지 않습니다. 미끼는 물고기에게 먹음직스럽지만 해害를 줍니다. 사람은 물고기를 이롭게 하는 척하면서 날찍을 얻습니다. 그 이로움은 같지만 해로움은 다릅니다. 樵 : 외람되지만 쫌 여쭙겠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漁 : 당신은 나무꾼입니다. 나와 하는 바가 다르므로 어떻게 나의 일을 알겠습니까? 그러나 당신을 위해 말해 보겠습니다. 그대의 이익은 .. 2017. 12. 14.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2]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2] 漁樵問對 [2] *편의상 대화부분에서 고기잡이는 `漁` , 나무꾼은 `樵`로 표현했음. ■ 나무꾼과 고기잡이는 이수伊水가에서 노닐었다. 고기잡이가 탄식하며 말하였다. 漁 : 아아, 만물의 많음이여! 잡됨이 맨 처음으로 되지 않았구나. 내가 하늘과 땅 사이에 노닐면서 만물은 모두 무심無心으로 다다를 수 있음을 알았도다. 당신이 아니면 내가 누구와 더불어 돌아가리오. 樵 : 외람되지만 좀 여쭙겠습니다. 무심無心으로 천지만물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실 수 있습니까? 漁 : 무심無心은 무의無意란 말입니다. 무의無意의 의意라야 나와 사물의 구분이 없어집니다. 나와 사물의 구분이 없어진 뒤에야 사물을 사물로 대할 수 있게 됩니다. 樵 : 나를 가지고 사물을 좇아가면 나 또한 사물이.. 2017. 12. 14.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5] 황극경세서 어초문대 [5] 漁樵問對 [5] *편의상 대화부분에서 고기잡이는 `漁` , 나무꾼은 `樵`로 표현했음. ■ 나무꾼이 고기잡이에게 말하였다. 樵 : 당신은 역易의 도道에 알고 있습니까? 외람되지만 좀 여쭙겠습니다. 역易에 태극太極이 있는데 태극太極은 무엇입니까? 漁 : 무위無爲의 근본입니다. 樵 : 태극太極은 양의兩儀를 낳는다고 하는데 양의兩儀는 하늘과 땅을 일컫습니까? 漁 : 양의兩儀는 하늘과 땅의 뿌리인데 하늘땅뿐만이 아닙니다. 태극太極은 나뉘어 둘이 됩니다. 먼저 하나를 얻어서 하나가 되고 그 다음에 하나를 얻어서 둘이 됩니다. 일一 · 이二 를 양의兩儀라고 합니다. 樵 : 양의兩儀는 사상四象을 낳는다고 하는데 사상四象은 무엇입니까? 漁 : 대상大象은 음陰 · 양陽 · 강剛 · 유柔 를 말.. 2017.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