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극경세서55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7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7 觀物內篇 七 ■ 옛날 공자孔子가 요임금과 순임금에 대해 말씀하시기를 옷을 드리우고 천하를 다스렸다 하시고,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에 대해 말씀하시기를 하늘의 뜻에 따르고 백성의 마음에 좇았다고 하시었다. 이 말이야말로 고금古今의 제왕帝王이 하늘로부터 명命을 받는 이치에 해당하리라. 요임금이 순임금에게 덕德으로 선양禪讓하였고 순임금이 우왕禹王에게 공功으로 선양하였다. 덕德으로도 제왕帝王이 되고 공功으로도 제왕帝王이 되었다. 그러나 공功은 덕德 아래에 놓인다. 은殷나라 탕왕湯王이 하夏나라 걸왕桀王을 정벌하여 내쫓고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정벌하여 죽였다. 내쫓는 것으로도 왕이 되고 죽이는 것으로도 왕이 되었다. 그러나 죽이는 것은 내쫓는 것의 아래에 놓인다. 이로서 시時에.. 2017. 12. 16.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8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8 觀物內篇 八 ■ 공자孔子가 이르길 순임금이 지은 소韶는 가락이 지극히 아름답고도 지극히 선善하다.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지은 무武는 지극히 아름다우나 지극히 선善하지는 않다. 또 가로되 관중管仲은 환공桓公의 재상으로 제후를 제패하여 한 번 천하를 바로잡으니 백성이 지금에 이르도록 그 은혜를 받았다. 관중管仲이 아니었으면 우리는 오랑캐 무리가 되었을 것이다. 이로써 무왕武王은 비록 순임금의 진선盡善 · 진미盡美 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천하를 거꾸로 하여 이해하면 순임금 아래로 1등이 됨을 알겠다. 환공桓公이 비록 무왕武王의 하늘에 따르고 백성을 좇는 것에 미치지 못하지만 제후를 제패하여 천하를 한 번 바로잡은 것은 오랑캐보다 높고도 멀다. 이로써 무왕武王을 순임금에 비교하면 허물이 없.. 2017. 12. 16.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9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9 觀物內篇 九 ■ 공자孔子가 가로되 선량한 사람이 나라를 100 년 동안 다스리면 잔혹함을 없애고 살인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참으로 믿음성이 있고 진실하다. 극도의 혼란함이 극도의 다스림으로 바뀌는데 반드시 삼변三變이 있다. ■ 삼황三皇의 법에는 죽이는 것이 없고 오패五覇의 법에는 살리는 것이 없다. 패覇가 한 번 변하면 왕王에 이르고 왕王이 한 번 변하면 제帝에 이르며 제帝가 한 번 변하면 황皇에 이른다. 그 생生함에 어찌 100 년이 아니리오! ■ 이로서 삼황三皇은 봄과 같고 오제五帝는 여름과 같으며, 삼왕三王은 가을과 같고 오패五覇는 겨울과 같음을 알겠다. 봄은 따뜻하고 여름은 뜨거우며 가을은 싸늘하고 겨울은 찬 것과 같다. ■ 춘春 · 하夏 · 추秋 · 동冬은.. 2017. 12. 15.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0 황극경세서 관물내편 10 觀物內篇 十 ■ 일日은 하늘의 원元으로 헤아리고 월月은 하늘의 회會로 헤아리며, 성星은 하늘의 운運으로 헤아리고 신辰은 하늘의 세世로 헤아린다. 일日로 일日을 헤아리면 원元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일日로 월月을 헤아리면 원元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일日로 성星을 헤아리면 원元의 운運을 알 수 있고 일日로 신辰을 헤아리면 원元의 세世를 알 수 있다. 월月로 일日을 헤아리면 회會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월月로 월月을 헤아리면 회會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월月로 성星을 헤아리면 회會의 운運을 알 수 있고 월月로 신辰을 헤아리면 회會의 세世를 알 수 있다. 성星으로 일日을 헤아리면 운運의 원元을 알 수 있고 성星으로 월月을 헤아리면 운運의 회會를 알 수 있으며, 성星으로 성星을 헤아리면.. 2017.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