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코드/성씨,나의뿌리53

한국의 성씨 | 편片씨 한국의 성씨 | 편片씨 절강浙江 편片씨 시조 편갈송 절강 편씨의 시조인 편갈송片碣頌은 중국 명나라 신종 때 사람으로 자는 경수景修, 호는 모헌慕軒이다. 편갈송에 관한 역사는 조선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나라의 운명이 풍전등화에 이르자 조선 조정에서는 명나라에 원병을 요청한다. 명나라는 이여송李如松에게 4만 군사를 주어 돕도록 했다. 이때 편갈송은 이여송의 막료로 ‘동정명군총병사東征明軍摠兵使’가 되어 참전해 평양성 공략에 공을 세우고 개선했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는 양호楊鎬 장군의 막료로 ‘제독군문섭병부상서중군제독提督軍門攝兵部尙書中軍都督’이 되어 재출정하여 직산稷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 이 승첩은 왜적의 서울 공략 야욕을 분쇄하는 중대한 계기였다. 편갈송은 후퇴하는 적을 추격하여 마.. 2017. 10. 20.
성씨의 고향, 본관本貫 성씨의 고향, 본관本貫 본관은 관적貫籍,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 적관籍貫이라고도 한다. 성이 아버지 쪽의 핏줄을 나타내며 시간에 따른 연속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본관은 어느 한 시대에 조상이 살았던 거주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공간에 따른 연속성이 크다. 본관은 신라 말, 고려 초기의 사회변동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국가적인 제도로서 시행된 것으로, 그 실시 시기는 지역적인 편차가 있으나 995년 (성종 14)경에 완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증산도 월간개벽 http://www.greatopen.net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 및 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 2017. 10. 20.
촌수 따지는 법 촌수 따지는 법 촌수는 기본적으로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로 간주하여 계산된다. 촌수로 정해지는 숫자체계는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낸다. 나의 형제ㆍ자매는 부모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나와 부모 간의 1촌과 부모와 형제 사이의 1촌을 합하여 2촌 관계에 있는 것이다. 또 나는 아버지를 통해 할아버지로 연결되기 때문에 2촌 관계가 된다. 할아버지와 1촌 관계에 있는 큰 아버지와 작은 아버지는 나와 할아버지 사이의 2촌을 합하면 3촌 관계가 된다. 3촌의 자녀들은 4촌 관계에 있는 형제 자매가 된다. 촌수는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로 추적하기 때문에 짝수(4촌 6촌 8촌)는 나와 같은 항렬의 사람들이고, 홀수(3촌 5촌 7촌)는 나보다 높은 항렬이거나 낮은 항렬의 사람들이다. 출처:.. 2017. 10. 20.
우리나라 성씨 수와 항렬표 우리나라 성씨 수와 항렬표 우리나라 성씨의 수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는 277성으로 되어 있고 영조 때에 이의현이 편찬한 도곡총설에는 298성, 1908년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는 496성(숫자가 많은 것은 고문헌에 있는 사성을 다 넣었기 때문이다)으로 되어있다. 1930년 조사에서는 250성으로 기록되어 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다. 1985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씨로 보고되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귀화 성씨는 442개로 집계되었다. 전국 성씨와 성씨별 인구 항렬표 ●항렬行列이란 같은 혈족사이의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율법이며, 항렬자行列.. 2017.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