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제님208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8>윤휴의 백호전서에 기록된 상제님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윤휴의 백호전서에 기록된 상제님 백호 윤휴의 『백호전서』 하늘은 이치가 나온 곳으로 도의 大原은 하늘(天)에서 나온다. 나날이 항상 공경하여 삼가기를 하루 이틀 이어 가고, 경황없이 공경하기를 어느 때나 무슨 일에나 하며, 하나도 상제님이라 하고 둘도 상제님이라 하여 흠숭하고 공경하니, 아래위로 가득하게 사무치고 왼쪽에도 오른쪽에도 계신 듯이 한다. (『백호전서』‘庚辰日錄·辛巳孟冬書’) 옛 사람들은 황공하여 공경하고 두려워하여 편안하지 못하고, 위에서 내려다보시고 곁에서 묻는 듯이 떨고 있으며, 하나도 상제님이라 하고 둘도 상제님이라 하며, 한 가지 일을 하는 것도 상제께서 명령한 바라하고, 악한 일을 하는 것은 상제께서 금하신 것이라 한다. 『백호전서』‘庚辰日錄’ 윤휴 [尹鑴.. 2017. 7. 7.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7>상제문화 회복을 주장한 정약용 선생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상제문화 회복을 주장한 정약용 선생 상제(上帝)문화의 회복을 주장한 다산 정약용 선생 우리 한민족은 아득한 예로부터 삼신 상제님과 천지의 뭇 신명들을 섬겨온 민족입니다. 신교(神敎)문화는 '신의 가르침, 하느님의 가르침, 즉 상제님의 가르침을 을 받아 내리는 것'이고, 한민족의 혼이며 고유한 신앙이고 정신문화였던 것입니다. ▶상제(上帝)문화의 회복 다산 정약용 선생은 주자학뿐만 아니라 양명학, 노장사상, 불교 및 서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들을 집대성하여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방대한 사상체계를 구축하여 그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상체계를 전개한 대학자였다. 또한 자신의 학문을 사악하고 탐욕스러운 권력의 착취 속에 고통 받던 조선 민중을 위한 해결책으로 승화시키고자 노력했던 시대의 .. 2017. 7. 7.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6>천주실의에 나오는상제님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천주실의에 나오는상제님 마테오리치 신부의 천주실의에 나오는 상제님 마테오 리치 신부는 서문에서 "나라에도 主가 있는데 천지에 홀로 계신 主가 없겠습니까?"라고 반문하고 있으며, 『천주실의天主實義』상권 제2편에서는 “오국천주 즉화언상제 吾國天主 卽華言上帝. 서양에서 말하는 천주님이 중국말로 바로 상제님이다.”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국천주吾國天主 즉화언상제卽華言上帝. "우리(카톨릭)의 천주님은 바로 중국문화의 상제님이시다." 이것은 천지의 원 주인이신 참 하나님에 대해 분명하게 밝혀주는 내용으로 서양 기독교에서 2천년 동안 부르짖어 온 하늘에 계신 아버지 천주님이 바로 동방의 상제님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것이다. 하느님(상제)은 세계를 지배하고 명령하는 지위에 있고 그 역할.. 2017. 7. 7.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5>유교경전 속의 상제님 2. 상제님에 대한 인식- 유교경전 속의 상제님 유교(儒敎) 경전속의 상제(上帝)님 우리는 흔히 하나님을 떠올리면, 기독교의 하나님만을 떠올린다. 하지만 동양의 기나긴 역사 속에서도 분명한 하나님이 존재하니, 이는 바로 상제(上帝)요, 기독교의 하나님과 다른 둘이 아니다. 인격신으로서의 상제님께 제사를 지냄-중국 상고시대 중국 초기의 상제문화에서는 한민족의 신교문화 개념을 그대로 이어받아 하늘의 최고신 하느님 개념을 갖고 하늘에 제사 드리는 국가 제례사가 정립된다. 그리고 중국의 당송시대로 내려오면서 옥황과 상제가 통합되어, 옥황상제는 천상 신명계 뿐만 아니라 우주의 최상위에 있는 유일한 지존의 존재를 일컫는 말로 굳어진다. 1) 유교경전에 나타난 상제님 유교는 요순시대 이후부터 중국에 전해오던 정치, .. 2017. 7. 6.